산업 IT

정부 발표에도 높아지는 계란 불안감... "계란 먹어도 되나요?"

생산 농가는 전수조사, 유통된 계란은 표본조사

유통 판매 계란 중 오염된 계란 가능성

"계란 유통기한 고려시 이미 늦은 것"

정부 당국의 조사가 진행될수록 ‘살충제 계란’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줄어들기는커녕 더 높아지고 있다. 생산 농가에 대한 전수 조사 이전에 오염된 계란이 당국의 조사에 걸리지 않고 유통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계란을 먹어도 되는지 불안하다는 지적이다.

17일 정부 당국에 따르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앞으로 유통하는 계란에 대해서는 살충제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거나 기준치 이하로 검출돼 먹어도 안전하다”며 “어린이든, 노인이든 전 국민을 대상으로 설정한 기준치이므로 안심해도 된다”고 강조했다. 이날 식약처와 농림부는 살충제 성분이 기준치 이하로 검출된 농가에 대해 친환경 인증마크를 붙이지 않고 유통하기로 했다.


이같은 조치에도 소비자들은 이미 시중에서 구입한 계란에 대해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농림부가 전수 조사하기 전 오염된 계란을 구입해 먹을 수 있다는 가능성에서다. 농림부에서 생산 농가를 대상으로 전수조사하고 있는 것과 달리 식약처에서 유통단계에 있는 계란을 표본 조사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살충제 성분이 검출되지 않은 계란이 유통될 가능성이 있다. 식약처는 생산 농가가 여러 곳에 계란을 납품하는 구조에서 유통 단계에서 전수조사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식약처 측은 “농가가 살충제를 뿌려도 닭마다 살충제 성분을 흡수한 양, 계란으로 녹아 들어가는 양 등이 다 다르다 보니 농가 전수 조사와 달리 유통 단계에서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게 현재까지는 적은 편”이라며 “생산단계에서 전수 조사를 하되 유통단계의 조사는 보완책으로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박용호 서울대 수의학과 교수는 “계란의 유통기간이 길지 않은 점을 고려할 때 문제가 생겨 추적에 나섰을 때는 이미 늦은 것”이라며 “사전 예방 차원에서 정부가 놓친 것”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정부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이 깊어지면서 소비자들이 다시 계란을 믿고 먹을 수 있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 당국은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닭의 살처분 여부를 결정하지 못한 상황이다.

통상 닭의 체내에 흡수된 살충제 성분은 시간이 지나면 배설물을 통해 체외로 배출된다. 피프로닐의 경우 이 기간이 최소 15일이다. 이 기간을 거쳐 체내 살충제 성분이 빠진 뒤 계란의 유통 판매를 허용할지, 오염된 닭을 살처분 할지 등을 놓고 고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염된 계란을 판매한 농가에 대해서는 제재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축산물위생관리법에 따라 오염된 계란을 판매한 농가에 대해서는 피프로닐의 경우 10년 이하 징역 혹은 1억원 이하 벌금을 부과한다. 비펜트린이 검출된 농가에 대해서는 3년 이하 징역, 5,000만원 이하 벌금을 부과한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