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당정, 내년도 예산안 협의...與 "병사 급여 대폭 인상" 요구

■2018년 예산안 당정 협의

文정부 핵심 국정 과제 관련 예산 반영 요구

확장적 재정 편성과 강도 높은 지출 구조조정 강조

김동연(왼쪽 세번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우원식(네 번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김태년(다섯번째) 정책위의장 등이 18일 오전 국회 귀빈식당에서 열린 2018년 예산안 당정협의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김동연(왼쪽 세번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우원식(네 번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김태년(다섯번째) 정책위의장 등이 18일 오전 국회 귀빈식당에서 열린 2018년 예산안 당정협의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은 18일 2018년도 예산안에 병사급여를 대폭 올릴 것을 정부에 요구했다. 이 밖에도 민주당은 국방비 증가율 증대, 국정 과제 추진 예산 반영, 복지 및 저출산 예산 확대 등 7가지 사항을 예산안에 차질없이 반영해달라고 요청했다.

이날 오전 내년도 예산안 편성 방향 논의를 위해 열린 당정 협의 후 김태년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경제 회복세가 견고하지 않은 상황에서 재정의 적극적 역할을 강조했다”며 “국정과제와 추가 재정 소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예산을 재정 확장적으로 편성하는 동시에 강도 높은 지출 구조조정을 강조했다”고 말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안보 상황을 고려해 국방비 증가율을 이전 정부보다 높은 수준으로 하고, 병사급여를 2022년까지 최저임금 50% 수준으로 인상하기 위해 내년에 대폭 올리고 기본급식 단가 및 예비군 훈련보상비를 50% 인상(현 1만 원→1만5천 원)하도록 요구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보훈 보상 지원 강화에 대한 새 정부 의지를 적극적으로 반영해 8·15 광복절 경축사에 언급된 무공·참전수당 인상 외에 보훈 보상금, 독립유공자 특별예우금 및 전몰·순직 유가족 보상금 인상을 요구했다”고 덧붙였다.


민주당은 또 누리과정 전액 국고지원과 아동수당 도입, 기초연금 인상, 치매 국가책임제,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자영업자와 영세 소상공인 지원에 추가 지출 소요 등 문재인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를 차질없이 예산으로 반영해 달라고 요구했다. 보육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아이 돌봄 지원 서비스 단가를 최저임금에 맞춰 올리고(6천500원→7천530원), 중증 장애인의 고용 장려금 단가 인상, 중소기업 근로자의 휴가비 신규 지원, 소방 공무원 심리 치료를 위한 심리 상담소 대상자 확대도 당의 요구사항이었다.

관련기사



김 정책위의장은 “대부분 민생과 관련한 예산 반영을 요구했다”며 “정부는 당의 요구사항을 2018년 예산안 편성 과정에서 최대한 반영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고, 향후 국회 심의 과정에서 소통과 협력을 당에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김 정책위의장은 “당정을 했지만, 예산안이 국무회의 통과 전인 상태이고 오늘 당의 의견을 받아서 정부가 국무회의 전까지 조정작업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하정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