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통계청이 발표한 ‘시도별 장래가구추계 : 2015~2045년’에 따르면 서울의 가구 수는 2015년 377만5,000개에서 2045년 365만2,000개로 3.3% 줄어든다. 2015년 대비 2040년 가구 수가 줄어드는 시도는 전국에서 서울이 유일하다. 같은 기간 전국의 가구 수는 1,901만3,000개에서 2,234만1,000개로 17.4% 증가한다.
서울의 가구 수 감소는 당초 예상보다 훨씬 빠른 것이다. 통계청은 2012년 시도별 장래가구추계 발표 때만 해도 2035년까지 서울의 가구 수가 줄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이번 추계 때는 6년 뒤인 2023년부터 가구 수 감소가 나타날 것으로 분석됐다. 5년 사이 탈서울 현상이 더 심화된 탓이다.
가구가 아닌 ‘인구’는 전국적으로 2032년부터 감소한다. 17개 시도 가운데 10개는 2015년 대비 2045년 인구가 더 적어진다. 사람들이 아이를 안 낳는 탓에 자연적으로 인구가 줄기 때문이다. 하지만 서울의 경우 유독 가구 수 감소까지 나타나는 이유는 저출산에 더해 삶의 터전을 서울 밖으로 옮기는 경우도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서울의 가구 수가 줄어드는 이유는 1인가구가 이미 충분히 많은 탓도 있다. 이지연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부부와 자녀 등이 같이 살던 가구에서 자녀가 독립하면 인구는 그대로여도 가구 수는 늘어난다”며 “서울은 1인 가구가 이미 많아서 분화로 인해 가구 수가 늘어날 여지가 적다”고 설명했다. 실제 2015년 서울의 1인 가구 비중은 29.5%로 특별시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이다.
경기도는 탈서울 현상의 반사이익을 누린다. 경기도는 가구 수가 2015년 435만5,000개에서 2014년 562만개로 100만가구 이상 늘어난다. 전국에서 증가 규모가 가장 크다. 서울에서 경기도로 이사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가구 수 증가율만 보면 행정부처가 밀집돼 있는 세종시가 235.4%로 가장 높을 것으로 조사됐다.
가구 유형은 전국적으로 1인 가구가 대세가 된다. 2015년엔 17개 시도 중 6개만이 1인 가구가 가장 주된 가구 유형이었으나 2026년부터는 모든 시도에서 1인가구가 가장 많아질 전망이다.
빠른 고령화 속도로 가구주가 65세 이상인 가구는 크게 늘어난다. 고령자 가구 비중은 2015년엔 19.3%에 그치지만 2045년엔 47.7%까지 급증한다. 특히 세종을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고령자 비중이 40%를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남의 경우 이 비율이 60.5%에 이른다.
/세종=서민준기자 morandol@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