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동물보호단체 “시중 유통 개고기서 항생제 성분 다량 검출”

어류·양서류서 발견되는 균도 검출

“정부, 식용 개 사육 관련 대책 세워야”

28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식용 사육개 항생제 실태 조사 기자회견에서 조희경 동물자유연대 대표(오른쪽)와 이혜원 건국대 수의과대학 3R동물복지연구소 부소장이 개 식용사용 금지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28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식용 사육개 항생제 실태 조사 기자회견에서 조희경 동물자유연대 대표(오른쪽)와 이혜원 건국대 수의과대학 3R동물복지연구소 부소장이 개 식용사용 금지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시중에서 판매되는 개고기에서 항생제 성분이 다량 검출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동물자유연대와 건국대 3R동물복지연구소는 28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전국 25개 시장 개고기 점포 93곳에서 살코기 샘플을 구입해 검사한 결과 절반에 가까운 42개에서 항생제 성분이 검출됐다”고 28일 밝혔다. 시·도 축산물시험기관의 최저 검출한계 이하 수준으로 나온 것들을 포함하면 샘플 61개(65.6%)에서 항생제 성분이 나왔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다만 항생제 검출량은 소와 돼지 등 다른 축산물에 적용하는 기준치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개고기에 적용하는 항생제 기준치는 없다. 이들은 “검출 비율이 다른 축산물(0.47%)의 96배에 달할 정도로 높다”며 “항생제 검출량보다 비율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모든 조사대상에서 세균과 바이러스 등 미생물이 검출되는 등 세균 오염도 심각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에 따르면 검출된 세균 중에는 요로감염과 패혈증을 불러올 수 있는 ‘프로테우스 불가리스’도 있었다. 대장균도 포함됐으나 이 대장균이 이른바 ‘햄버거병’의 원인균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어 어류나 양서류에서 발견되는 균도 검출된 점으로 미뤄 도축한 개를 씻는 과정에서 지하수나 오염된 물을 사용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축산법상 가축에 개가 포함돼 있으므로 농림축산식품부는 전국적인 개 사육실태 현황조사를 벌여 대책을 마련해야 할 책임이 있다”며 “정부가 식용 개 사육 금지에 대한 로드맵과 정책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이두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