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은 27일에도 “(기종)불상 발사체”라며 여전히 신중한 입장을 보였지만 300㎜ 방사포(대구경 다연장포) 개량형에 무게를 두고 있다. 청와대도 전날 “개량된 300㎜ 다연장포로 추정되나 정확한 특성과 제원에 대해서는 군 당국이 정밀 분석 중”이라고 전했다.
반면 미 태평양사령부는 단호하게 “단거리미사일(SRBM)”이라고 평가했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고도와 궤적 등에서 기존의 미사일과는 달리 추가로 분석해야 할 요소가 있다”고 언급했다.
북한의 발사체는 최고 고도 50여㎞까지 올라가 250여㎞를 날아간 것으로 알려졌다. 세 발 중 한 발은 발사한 지 수초 만에 폭발하고 말았다. 일반적인 SRBM의 고도(80여㎞)에 훨씬 못 미친다는 점에서 300㎜ 신형 방사포나 지대함미사일 등 신형 단거리 발사체일 가능성이 제기됐다.
만약 사실이라면 북한은 300㎜ 방사포의 사거리를 기존 200여㎞에서 250여㎞로 연장했거나 통상적인 궤적과는 다른 신형 단거리 발사체를 선보인 것. 일각에서는 단거리 스커드 미사일을 저각발사해 사거리와 비행시간을 단축시켰을 가능성도 내놨다.
북한이 지속적으로 방사포 성능개량 작업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경북 성주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기지를 염두에 둔 300㎜ 방사포의 사거리 연장이 아니냐는 분석도 제기됐다. 스커드의 의도적 사거리 단축이었다 해도 마찬가지 맥락으로 알려졌다.
성주 사드기지는 군사분계선(MDL)에서 직선거리로 270여㎞ 떨어져 있는 상황. 북한은 여러 개의 발사관을 장착한 소형 이동식발사차량을 이용해 동시다발적으로 방사포를 쏘기 때문에 요격이 사실상 불가능할 것으로 알려졌다. 스커드의 발사부터 탄착까지는 3분여에 불과. 발사체 궤적 등은 군이 동해상 이지스 구축함 등을 이용해 우선적으로 확인했다.
미군은 우리 측 통보를 받아 위성 등으로 사후 추적했다. 한·미 정보당국은 300㎜ 방사포를 KN09으로 지칭하며 탄도미사일로 분류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자체 추진력을 갖췄고 유도조종도 가능하기 때문. 그런 의미에서 한·미 군 당국의 평가는 일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