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서울경제TV] 최저임금 인상 등 가뜩이나 힘든데… ‘충격·허탈’ 재계

기아차 노조, 통상임금 일부 승소… 재계 충격·허탈

재계, 최저임금인상에다 고용 여력 축소 등 파장일 듯

이번 결과 단체교섭에도 영향… 재계 ‘전전긍긍’

현대·기아차·한국GM 등 임단협 매듭짓지 못해

노조 새 집행부 선출·노사간 이견 커 어려운 상황

대한상의 “소모적 분쟁 해소 위한 입법조치 시급”







[앵커]


이번에는 재계의 분위기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판결로 가뜩이나 어려운 대내외적 경영환경 속에 분위기는 더욱 나빠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창신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기자]

기아차 통상임금 1심판결에서 원고 일부 승소 판결이 나오면서 재계는 충격과 허탈감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싱크] 박진서 / 한국경영자총협회 법제1팀장

“오늘 기아차 판결에서 법원이 신의칙을 적용하지 않았던 점은 기존에 노사가 합의했던 약속을 뒤집고 노조의 주장만 받아들임으로써 이 판결로 인해 기업이 일방적인 부담과 손해를 감수하라는 결과이기 때문에 허탈감을 금할 수가 없습니다.”


재계는 중국의 사드보복, 미국의 통상압력에 더해 최저임금 인상, 정부의 고용확대·증세 방침까지 겹치면서 경영환경이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관측했습니다.

관련기사



[싱크] 정조원 / 전국경제인연합회 팀장

“사드 보복, 멕시코 등 후발 경쟁국들의 거센 추격, 한미FTA 개정 가능성 등으로 우리 자동차 산업이 매우 어려운 상황입니다. 금번 통상임금 판결로 기업들이 예측치 못한 추가 비용까지 부담하게 돼 산업경쟁력 약화로 이어지지 않을까…”

특히 재계는 이번 결과가 단체교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전전긍긍하는 모습입니다.

실제로 국내 완성차 5개사 중 현대·기아차와 한국GM은 아직 임금·단체협약 교섭을 매듭짓지 못했습니다.

쌍용차와 르노삼성이 무분규로 임단협을 타결한 것과는 대조적입니다.

현대차는 노조가 새 집행부 선출 시까지 교섭을 중단하기로 해 경영 불확실성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기아차는 이번 선고를 계기로 교섭을 본격적으로 재개할 예정이지만 노사간 이견이 커 상황이 녹록치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편, 대한상의는 “향후 노사간 소모적 분쟁을 방지하기 위해 정부와 국회는 통상임금의 개념과 범위를 명확하게 정하는 입법조치를 조속히 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습니다.

[영상취재 장태훈 / 영상편집 김지현]

정창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