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이슈

안전한 계란 위한 제도적 개선에 민ㆍ관이 함께 나선다

계란 잔류물질검사 주기 확대 등 대책 마련




‘계란의 눈물, 멈출 수 있을까?’

정부와 민간이 계란 피해 농가 구제를 위한 대응책을 마련하고 계란 안전성 확보를 위해 지속적인 후속조치를 취하고 있다.


전국 1,239개 산란계 농장에 대한 전수조사 및 420개 농가 대상 추가 보완검사를 통해 52개의 부적합 농장에서 유통된 물량과 이를 원료로 가공한 제품 전략을 압류·폐기조치 했다. 또한 8월 29일부터 재검사 결과를 공개하고 새로운 난각코드를 부여해 출하시키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이와 같은 노력에도 양계농가의 시름은 깊다는 것이 관련 업계의 공통된 시각이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에 이은 폭염 폐사 후유증이 채 가시기도 전에 또다시 살충제 계란이 문제가 되면서 설상가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양계 농가의 시련은 올 초부터 시작됐다. 연초부터 사상 최악의 조류인플루엔자(AI)로 인해 전국이 들썩였다. 당시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AI로 살처분 된 가금류는 3,718만 마리이다. 닭이 3,092만 마리로 가장 많았으며 닭의 경우 전체 가금류 중 19.9%가 매몰 처리됐다.

농장주들이 마음을 달랠 겨를도 없이 여름철 폭염으로 인한 폐사가 이어졌다. 낮 최고기온이 35℃를 웃도는 폭염 속에 무더위를 견디지 못한 가축이 줄줄이 폐사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올해 폭염으로 폐사한 가축은 모두 277만 8000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닭이 269만 마리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AI로 극심한 피해를 겪었던 닭이 연이어 폭염의 주 희생양이 된 것이다.

관련기사



망연자실할 틈도 없이 이번에는 살충제 달걀이 양계농장을 엄습했다. 유럽발 살충제 계란 사태가 국내에서도 급속도록 확산되면서 아직까지도 온 나라가 불안에 떨고 있는 형국이다.

살충제 계란에 대한 불안감은 당연히 해소되어야 하지만 소비자들이 안전하게 생산되어 유통된 계란까지 기피하면서 양계 농가들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주선태 경상대 축산학과 교수는 “이번 사태를 반면교사 삼아 건강한 계란을 만드는 시스템 구축이 절실하지만 철저한 원칙을 지켜가며 계란을 생산하고 있는 96% 이상의 농가까지 피해를 봐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대한양계협회와 계란자조금관리위원회는 “농약성분관리 및 사용기준 개선, 계란의 잔류물질검사 주기 확대, 각종 인증 제도의 소비자 중심 개선 등을 통해 안전한 계란 생산을 위한 제도 개선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이어 “또다시 국민들의 신뢰를 저버리는 일이 없도록 농가와 업계 종사자 안전교육, 교육 및 안전시스템 구축, 축사 환경개선 등 계란 안전에 필요한 모든 조치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 덧붙였다.


/김동호 기자 dongho@sedaily.com

김동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