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文대통령 “노후 석탄발전소, 봄철마다 가동 중단...폐쇄 앞당길 것”

“대기관리권역 지역, 수도권에서 전국으로 확대...사업장 미세먼지 총량관리제도 도입”

서해 유류피해극복 10주년 행사 참석

문재인 대통령이 “매년 봄철마다 노후 석탄발전소 가동을 중단하고 폐쇄 시기를 최대한 앞당기겠다”고 밝혔다.

15일 문 대통령은 충남 태안의 ‘서해 유류피해 극복 10주년’ 행사를 찾아 “충남의 하늘이 맑아야 서울의 하늘도 맑다”며 이 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6월 한 달간 보령화력발전소 1·2호기와 서천 1·2호기 등 충남의 4기를 비롯해 전국 8기의 노후 석탄발전소 가동을 중단 지시한 바 있다”며 “그 결과 충남 미세먼지 농도는 지난 2년 평균치보다 15.4%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노후 석탄발전소 가동중단을 매년 봄철 정기적으로 시행하며 폐쇄 시기를 최대한 앞당기겠다”고 말했다.


이는 문 대통령 취임 직후 발표한 내용과 같은 것이다. 문 대통령은 5월 15일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을 통해 “내년 3~6월까지 4개월간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중단을 정례화하라”며 “노후 발전소 10기는 임기 내에 모두 폐쇄하고, 시기도 최대한 앞당길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관련기사



이날 문 대통령은 “현재 수도권으로 한정된 대기관리권역 지역을 충남을 비롯한 전국으로 확대할 것”이라며 “전국 미세먼지 배출량의 38%, 충남에선 35%의 비중을 차지하는 사업장 미세먼지에 대한 총량관리제를 도입해 충남과 대한민국의 공기를 깨끗하게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국내 미세먼지 문제를 보다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길은 우리의 에너지를 깨끗하고 안전한 미래 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이라며 친환경 에너지로의 전환 정책을 계속할 것을 시사했다.

문 대통령은 서해 유류피해 등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재난 관리에 매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문 대통령은 “깨끗한 바다를 지키기 위한 안전·재난 관리에 더욱 힘쓸 것”이라며 “재난에 미리 대비할 수 있도록 예보, 경보 시스템을 갖추겠다”고 말했다. 또 “연안으로부터 배타적 경제수역(EEZ)까지 전 해역의 통합관리를 실시하겠다”며 “우리 바다가 주는 혜택을 후대까지 물려줄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하겠다”고 강조했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