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소비자 10명 중 6명 “알뜰폰 들어는 봤는데…”

알뜰폰의 장점 ‘저렴한 요금’ vs 단점 ‘서비스 부족’

녹색소비자연대의 온라인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 10명 중 6명은 ‘알뜰폰’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서울경제DB녹색소비자연대의 온라인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 10명 중 6명은 ‘알뜰폰’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서울경제DB


소비자 10명 중 6명은 ‘알뜰폰’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알뜰폰 토론회에서는 15일 이런 내용을 담은 녹색소비자연대의 온라인 인식 조사 결과가 공개됐다.


올해 4∼8월 통신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조사에서 ‘들어본 적은 있으나 자세히 알지 못한다’는 응답이 59%로 ‘잘 알고 있다’(39%)를 크게 웃돌았다. 알뜰폰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멤버십·고객센터 등 서비스 부족’이 27%로 가장 많았다. 통화품질 저하 우려(20%), 낮은 브랜드 신뢰도(19%), 정보 부족(12%)은 그 뒤를 이었다. 조사에 응한 알뜰폰 이용자의 87%는 알뜰폰의 가장 만족스러운 부분으로 저렴한 요금을 꼽았다. 반면 가장 불만인 부분으로 서비스 부족을 꼽았다.

알뜰폰은 2011년 7월 도입된 이래 저렴한 요금을 앞세워 빠르게 성장해 왔다. 올해 6월 기준 가입자는 720만 명으로 전체 이동전화 가입자의 11.7%를 차지했다.

하지만 가격 경쟁에 치중하며 알뜰폰 업계는 위기에 봉착했다. 지난해 317억 원의 적자를 냈고, 누적 적자는 3,309억 원에 달했다. 정부가 25% 요금할인과 보편요금제 등 정책을 추진하면서 알뜰폰 업계의 위기감은 더 커졌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알뜰폰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언이 나왔다.

관련기사



신민수 한양대 교수는 “전파사용료 제도를 알뜰폰에 맞게 개선해야 한다”며 “시장에서 유효 경쟁이 가능한 시점까지 전파사용료를 면제한 뒤 알뜰폰의 ARPU 대비 전파사용료 부담률을 고려해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유통 채널을 공공기관으로 확대하고, 공공기관의 모바일 회선을 알뜰폰으로 먼저 구매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도매대가(알뜰폰이 이통사에 지불하는 망 이용 대가) 산정 방식도 개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현재 도매대가는 종량형 요금제에 맞춰져 있어 정액제인 데이터 요금제와 맞지 않는다는 거다.

또 신 교수는 “도매대가 등 가격 요인도 중요하나 경쟁력 있는 단말 공급·유통망 확대·고객 서비스 강화 등 비가격적이고, 고질적인 부분의 체질 강화가 필요하다”며 “알뜰폰의 자생력 확보와 관련된 중장기 정책이 개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알뜰폰의 ‘자생’을 강조했다. 송재성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신경쟁정책과장은 “알뜰폰은 규제보다는 사업자의 의지와 투자 문제로 보고 있다”며 “MVNE(알뜰폰 사업자가 다른 사업자에게 설비 및 서비스를 재제공하는 것) 사업도 제도적으로 금지하지는 않으며 상호접속 허용도 업계와 검토해나갈 것”이라고 했다.

/류승연 인턴기자 syryu@sedaily.com

류승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