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농산물값 7년만 최대 폭등…8월 생산자물가 2개월 연속 오름세

7월에 이어 폭우·폭염에 농산물값 14.2% ↑

'살충제 달걀' 여파로 달걀·닭고기값은 하락

2017년 8월 생산자물가지수 등락률. /자료=한국은행2017년 8월 생산자물가지수 등락률. /자료=한국은행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2개월 연속 상승했다. 7월에 이어 지난달에도 폭염과 폭우로 토마토와 피망 등 농산물 가격이 약 7년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은 영향이 컸다.

1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8월 생산자물가지수’ 잠정치는 7월(101.85)보다 0.3% 오른 102.2(2010=100)로 집계됐다. 생산자물가는 국내 생산자가 내수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며,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친다.

8월 생산자물가가 상승한 데에는 농산물 가격 급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7월에 이어 지난달에도 폭염과 장마가 반복되면서 농산물 출하량이 감소하자 가격이 전달보다 14.2% 올랐다. 2010년 9월(18.8%) 이후 6년 1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오름폭이다. 특히 피망이 190.9% 치솟았고, 토마토(102.1%)와 배추(55.3%) 등도 2배 안팎으로 뛰었다. 농산물 가격은 7월에도 채솟값을 중심으로 8.4% 오르면서 5개월 만의 생산자물가 상승 전환을 견인했는데, 지난달 더 큰 폭으로 뛴 것이다. 특히 추석을 앞두고 수요 증가가 맞물리며 더 오를 수 있어 소비자들의 체감 물가도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반면 ‘살충제 달걀’ 여파로 수요가 급감한 닭고기와 달걀 가격은 전달보다 각각 12.9%, 13.9% 떨어졌다. 다만 달걀 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보면 51% 오른 것으로 조류인플루엔자(AI) 충격 이후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생산자물가지수의 절반을 차지하는 공산품도 국제유가가 오르면서 석탄 및 석유제품(3.2%)을 중심으로 0.3% 뛰었다. 두바이유는 지난 8월 월평균 배럴당 50.22달러를 기록, 50달러선으로 올랐다.

한편 서비스 물가는 전달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휴가철 막바지를 맞아 휴양콘도 숙박비(19.9%), 국내항공여객 이용료(4.5%) 등이 올랐지만, 카드가맹점수수료(-4.5%)를 중심으로 금융·보험 이용료가 하락했다. 정부 정책에 따라 8월부터 연매출 5억원 이하의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가 0.64%포인트 인하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빈난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