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칩 하나로 통합 제어…ETRI 자율차 '기술독립'

9개 두뇌로 영상·급발진 등 감지

넥스트칩 기술이전…내년 상용화

ETRI 연구진이 자율주행차의 두뇌를 크게 향상시킨 기술을 개발하고 시연하고 있다. /사진제공=ETRIETRI 연구진이 자율주행차의 두뇌를 크게 향상시킨 기술을 개발하고 시연하고 있다. /사진제공=ETRI




자율주행차의 모든 센서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하나의 칩으로 통합 처리하는 기술이 국내에서도 개발됐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는 세계 최소 수준인 1와트(W) 내외의 저전력으로 자율주행차의 영상인식 및 제어 기능을 통합 실행하는 프로세서 칩(‘알데바란’으로 명명)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그동안 해외기술에 의존해 왔으나 국산화에 성공한 것이다.

‘알데바란’ 칩‘알데바란’ 칩



지난해 4개까지 개발했던 프로세서 코어(두뇌)를 이번에 9개로 늘려 처리속도가 빨라져 깨끗하고 큰 영상구현이 가능해졌다. 실시간 초고화질(UHD) 영상 처리와 함께 보행자, 차량, 차선, 물체 움직임을 인식하는 것도 레이더와 GPS 신호처리 기술로 해결했다.

관련기사



무엇보다 카메라 영상처리 기능을 넣고 운전자지원시스템을 보강해 모션 인식까지 가능하도록 프로세서 칩을 하나로 모아 단가를 낮추고 효율성은 크게 높일 수 있게 됐다. 칩에는 UHD급 해상도의 블랙박스 기능도 추가했다. 차량 급발진 등 전자장치가 고장 났을 때 99%의 확률로 이를 잡아내 해결할 수 있고 차량 고장 여부도 스스로 체크할 수 있다. ETRI는 글로벌 경쟁사가 내놓은 분리형 칩이 내장된 모듈가격이 수십만 원대인데 품질은 그에 못지 않으면서 가격은 수만 원대로 낮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ETRI는 반도체 설계 전문 업체인 ㈜넥스트칩에 기술이전하고 내년에 상용화하기로 했다

권영수 ETRI 프로세서연구그룹장은 “내년까지 현재보다 영상인식 엔진 성능이 100배 이상 향상된 인공지능 프로세서를 제작, 추후 움직이는 모든 물체를 정확히 인식하는 기술을 내놓겠다”며 “기계와 사람 간 대화에서 목적지를 정하고 길을 스스로 찾아가는 서비스가 가능한 칩을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ETRI 연구진이 자율주행차의 두뇌를 크게 향상시킨 기술을 개발한데 이어 계획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제공=ETRIETRI 연구진이 자율주행차의 두뇌를 크게 향상시킨 기술을 개발한데 이어 계획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제공=ETRI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