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中 "북한자본 투자 기업 추방" 결정한 속내는…

美 국무장관 방중 앞두고 발표

‘착실한 대북제재 이행’ 보여줘

북핵·경제문제 갈등해소 위한듯

중국 정부가 북한 자본이 투자된 기업을 중국에서 내쫓기로 결정했다./연합뉴스중국 정부가 북한 자본이 투자된 기업을 중국에서 내쫓기로 결정했다./연합뉴스


중국 정부가 북한 자본이 투자된 기업을 중국에서 내쫓기로 했다. 북·중 접경지역인 동북 3성 지역의 북·중 합작기업, 합작 형식의 북한 식당과 북한이 100% 직접 투자한 식당 등 북한 관련한 모든 형태의 기업이 퇴출 대상이다.

중국 상무부는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의 방중을 이틀 앞둔 28일 이와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이는 사실상 미국을 의식한 결정으로 보인다. 그간 중국은 북핵·경제문제를 둘러싼 미국과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트럼프 대통령의 방중을 추진해왔다.


미국은 중국에 추가 대북제재를 압박해왔다. 특히 지난 27일 미국은 ‘제3자 제재(세컨더리 보이콧)’의 추가 대상을 발표하며 중국의 숨통을 더욱 조였다. 중국은 이번 발표로 트럼프 대통령에게 제재를 착실히 이행하고 있음을 보여준 것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중국의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은 북한이 6차 핵실험을 감행한 이후부터 비자 연장 금지 조치를 본격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이달에만 북한 식당 종업원을 포함한 2,000명 이상의 북한 근로자들이 귀국했다.

한편 최근 북·중 관계는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28일 중국 관영매체인 런민왕(人民網)에 따르면 얼마 전 평양에서 주최된 중국 건국 68주년 행사에서 북한 측 인사로 리길성 북한 외무성 부상(차관급)이 참석했다. 이는 지난해 북한이 김영대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국회 부의장급)을 보낸 데 비해 주빈 격이 크게 달라진 것이다.

/류승연 인턴기자 syryu@sedaily.com

류승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