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응급장비 AED 설치 규모 지역별 최고 6배 차이

심폐소생 응급장비 자동심장충격기(AED) 설치 규모가 지역별로 최대 6대나 차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명연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AED 시군구별 설치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국 18개 시·도 가운데 인구 대비 자동제세동기 설치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제주였다. 하지만 대전의 경우 가장 낮은 곳으로 나타났다. 자동심장충격기는 심장이 멈춘 환자의 심장 상태를 자동으로 파악하고 적절한 전기 충격을 가해 심장 박동을 되살리는 장치다. 의료인이 아닌 사람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2008년부터 공공장소 설치가 의무화됐으며 아파트, 학교, 유치원, 영화관 등 다중이용시설에는 설치가 권장되고 있다.


자동심장충격기 1대당 인구수는 제주가 751명으로 가장 작았다. 이어 전남(1,133명), 서울(1,312명), 경기(1,834명), 경북(1,908명), 인천(1,919명) 순이었다. 대전은 1대당 인구가 4,652명으로 제주와는 6배나 차이가 났다. 그다음으로는 부산(4,584명), 울산(4,271명), 대구(2,973명), 충남(2,679명), 강원(2,452명), 충북(2,451명), 세종(2,300명), 경남(2,130명), 전북(2,046명)으로 1대당 인구가 2,000명을 웃돌았다.

관련기사



시군구별로는 전남 신안군이 164명으로 1대당 인구가 가장 작았다. 이어 인천 옹진군(192명), 경북 울릉군(348명) 순이었다. 반면 부산 영도구(1만7,724명), 강원 철원군(1만5,797명), 충남 천안 서북구(1만1,634명) 등은 설치가 미흡했다.

김 의원은 “지방자치단체들은 자동심장충격기 설치 의무화 규정을 잘 지켜 급성심정지 환자 생존율을 선진국 수준인 9∼10%대로 높여야 한다”면서 “보건당국은 비공공장소에서의 심정지 발생이 많은 것을 고려해 설치 공간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