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고가폰만 팔아서?…韓 단말기 평균 판매가, 해외의 2배

삼성 2.3배·LG 2.1배 차이 나

프리미엄폰 판매비중 높은 탓





국내 스마트폰 시장이 고가의 프리미엄폰으로 대체되면서 휴대전화 단말기 평균 가격이 해외보다 2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변재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가트너 9월 보고서를 보면 지난 2015년부터 올해 2분기까지 국내 단말기 평균 판매가격은 514달러(현재 환율기준 58만6,000원)였다. 이는 해외 단말기 평균가 197달러(22만5,000원)보다 비싼 수준이다.


삼성전자의 국내 단말 평균 판매가격은 평균 508달러로 해외 평균 223달러보다 2.3배 높았다. LG전자의 국내 단말 판매가격은 평균 361달러였지만 해외 판매가격은 평균 176달러로 국내에서 역시 2.1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애플 역시 국내 판매가가 45달러(약 5만원) 높았다.

관련기사



이 같은 가격 차이는 제조사들이 해외 시장 위주로 유틸리티폰 등 중저가폰을 판매하는 반면 국내에서는 프리미엄폰 위주로 단말기를 판매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트너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4분기 기준 해외 프리미엄폰의 시장의 비중은 약 32% 수준인 반면 국내의 경우 87.9%에 달했다.

단말가격 부담은 소비자 인식조사에서도 그대로 나타났다. 변 의원이 시민단체 녹색소비자연대와 함께 지난달 12∼22일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자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인식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75.6%가 여전히 “가계통신비에 부담을 느낀다”고 답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87.4%가 LTE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있었고 60대 이상에서도 70.7%가 LTE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말기 제조사별로는 삼성(63.8%)의 점유율이 가장 높았고 LG(19.7%), 애플(11.9%), 기타(4.6%)였다. 삼성과 애플 단말기를 사용하는 소비자들은 전체 평균보다 단말기 할부금을 많이 지출하고 있었다. 단말기 월 할부금이 3만원 이상인 소비자 비중이 전체 56.5%였는데 삼성 소비자의 60.2%가, 애플 소비자의 82.6%가 이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 의원은 “가계통신비 인하는 통신서비스 요금 인하만으로는 한계에 봉착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정부와 정치권이 저가의 단말기 보급을 확대해 국민의 단말기 선택권을 확대하는 등 단말기 고부담 문제에 적극 나서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권용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