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학교비정규직노조 "정부안 수용 불가" 25일 총파업 예고

근속수당 전환 등 두고 당국과 마찰

교육당국 "통상임금 기준시간 낮춰야"

김상곤 부총리, 집행부 농성장 방문키로

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회원들이 단체 합동차례를 지내고 있다. 이들은 근속수당 도입과 최저임금 인상 등을 요구하며 단식농성을 이어가고 있다. /연합뉴스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회원들이 단체 합동차례를 지내고 있다. 이들은 근속수당 도입과 최저임금 인상 등을 요구하며 단식농성을 이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근속수당 도입 등을 요구하며 무기한 총파업을 예고했다.

연대회의는 10일 “교육부와 교육청이 ‘임금 산정시간 변경’을 근속수당 도입의 전제조건으로 고집해 집단교섭이 파행에 이르렀다”며 25일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와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전국여성노조 등이 공동으로 꾸린 단체로 약 9만명이 속해 있다. 현재 지도부가 서울 서대문구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2주째 단식농성 중이다. 연대회의는 11일 총파업 선포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다.


연대회의는 장기근무가산금의 근속수당 전환, 연간 상승폭 2만원에서 3만원으로 인상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교육당국은 통상임금 산정의 기준시간을 현 243시간에서 다른 공공부문과 같이 209시간으로 줄여야 근속수당을 도입할 수 있다고 맞서고 있다.

관련기사



양측은 8월부터 임금협약 체결을 위한 집단교섭을 8차례 실시했지만 교착 상태가 계속되고 있다. 양측의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으면서 집단교섭은 완전히 중단된 상태다.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김석준 부산시교육감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날 저녁 연대회의 농성장을 방문하기로 했다. 두 교육감은 전국 시·도 교육감을 대표해 나섰다. 김 부총리와 두 교육감은 연대회의 지도부를 면담하고 단식 농성 중단을 요청할 예정이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