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문 대통령 “4차산업혁명으로 소외되는 사람 배려 전략 만들어야”

■4차산업혁명위원회 첫 번째 회의 주재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 에스플렉스센터에서 열린 4차산업혁명위원회 출범식및 제1차 회의에 참석해 뽀로로 모양이 로봇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제공=청와대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 에스플렉스센터에서 열린 4차산업혁명위원회 출범식및 제1차 회의에 참석해 뽀로로 모양이 로봇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제공=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이 “4차 산업혁명으로 소외되는 사람을 배려하는 전략이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11일 서울 상암동에서 대통령 직속 4차 산업혁명위원회 전체회의를 주재하고 “4차 산업혁명이 전체적으로는 국민의 삶을 행복한 변화로 이끌겠지만 이 과정에서 소외되는 사람과 분야까지도 예상하고 배려하는 전략도 마련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4차 산업혁명으로 단순노무직 일자리가 증발할 것으로 보이고 자본, 기술, 정보력이 부족한 사람들이 소외될 가능성이 높은데, 이들을 위한 정책도 필요하다는 뜻이다.


문 대통령은 “4차 산업혁명위원회가 정부를 설득하고 견인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며 “엄청난 변화와 혁신을 요구하기 때문에 위원회 이름에도 ‘혁명’이라고 붙어 있다. 정부가 엄청난 변화의 속도에 따라가기 위해서는 위원회의 역할이 그만큼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정부 들어 생긴 4차 산업혁명위원회는 대통령 자문기관으로 정부부처 장관 5명을 당연직 위원으로 두고 장병규 위원장(블루홀 이사회 의장)을 포함해 민간위원 20명으로 구성돼 있다.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해 민간이 목소리를 정부 부처에 전달해 변화에 변화에 수동적인 경향이 있는 정부부처 정책의 변화를 이끌어야 한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문 대통령은 “앞으로 위원회는 국회, 변화를 두려워하는 사람과 분야들도 설득해야 한다”며 “4차 산업혁명에 대한 큰 그림과 구체적인 국가전략을 함께 마련해 가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 “구체적인 과세와 사업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을 체감하고 변화에 공감하게 해야 한다”며 “세계적인 흐름에 뒤쳐지지 않는 수준이 아니라 선도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자”고 강조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자유토론에서 ‘사람 중심의 4차 산업혁명’, ‘민간과 정부의 팀플레이’, ‘4차 산업혁명의 큰 그림과 구체적 과제의 병행추진’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