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크롬·앱스토어 앱인 줄 알았는데...아이콘 비슷한 악성앱 주의

문자메시지 링크 클릭땐 자동 설치...구분 어려워 주의를

유명 앱과 비슷하게 생긴 악성 앱을 모르고 설치해 사용하다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신용현 의원실 제공=연합뉴스유명 앱과 비슷하게 생긴 악성 앱을 모르고 설치해 사용하다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신용현 의원실 제공=연합뉴스


유명 앱과 비슷하게 생긴 악성 앱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설치해서 사용하다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례가 크게 늘었다.

1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신용현 의원(국민의당·비례대표)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악성 앱 적발 건수는 2015년 1,665건, 지난해 1,635건에서 올해 1~7월 1,887건에 달했다. 올해 적발 건수가 지난해보다 두 배를 넘을 것이란 예측이 나온다.


악성 앱은 구글 웹 브라우저 크롬, 앱스토어, 정부 민원 서비스 포털 ‘민원 24’, 우체국 등 스마트폰에서 많이 사용되는 유명 앱 아이콘 모양을 따라 하고 있어 사용자가 알아차리지 못할 수 있다.

관련기사



설치할 때 악성 앱은 전화번호와 문자메시지 관리, 저장소 조회, 위치 정보 등 권한을 요구한다. 정상 앱인 줄 알고 의심 없이 동의하는 경향이 있는데 비밀번호와 공인인증서 등 중요한 개인정보가 그대로 유출될 위험이 있다. 악성 앱은 택배 배송 조회나 공공기관 공지, 지인, 사회 이슈 등 가짜 문자메시지에 담긴 링크를 클릭하면 자동으로 설치되는 식으로 유포됐다. 신 의원은 “정부 당국은 악성 앱 단속을 강화하고 과도한 기기권한 요구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지형 인턴기자style gijastyle="91"/>kingkong93@sedaily.com

정지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