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각에서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 정부의 압박이 ‘배터리 공장 손 털기’로까지 이어진 게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이에 대해 삼성SDI 측은 “중국 톈진 공장은 전기차와 관련이 적은 소형 배터리 생산 공장으로 사드 여파와 무관하다”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17일 외신 및 업계 등에 따르면 톈진 배터리 공장의 합작법인인 삼성톈진전지유한공사의 중국 측 지분 30%가 매물로 나왔다. 중국 측 지분 50%를 나눠 갖고 있는 톈진경제기술개발구 국유자산경영공사(20%)와 톈진중환전자신식그룹(30%)이 각각 지분 20%와 10%를 팔기로 한 것이다. 지난 2015년 10월 삼성톈진전지유한공사 설립 당시 파트너로 참여한 이 2개사는 이번 지분 매각의 이유를 밝히지 않았다.
중국 언론 등은 중국 측 지분 매각이 삼성톈진전지유한공사의 사업환경 악화와 관련 있다고 주장한다. 한국산 배터리를 사용한 전기차에 대한 중국 정부의 보조금 지급이 중단되면서 공장 실적이 나빠졌다는 것이다.
삼성SDI 측 입장은 다르다. 무엇보다 톈진 공장은 전동공구, 전기 자전거, 스마트폰 등에 들어가는 소형 배터리를 생산하는 곳인 만큼 사드나 전기차 보조금 중단 사태와 관련이 적다는 설명이다. 오히려 중국 언론이 초기 시설투자금을 감안하지 않고 중국 측의 부채비율이 높은 점만을 강조했다는 주장이다.
업계에서는 삼성SDI가 중국 측 지분을 인수할지가 관심사다. 톈진 공장 설립 당시만 해도 중국 정부가 전기차 배터리 합작 생산법인의 외국 회사 지분 한도를 50%로 제한했지만 지난 6월 외자 유치 촉진 차원에서 한도를 없앴기 때문이다. 삼성SDI 관계자는 “지분 인수에 관심이 있는 것은 맞지만 아직 결정된 바가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