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기업 채권의 가격산정을 두고 논란을 겪어왔던 시장 친화적 구조조정 펀드가 이르면 올해 연말 최대 1조원 크기의 1호 펀드를 모집한다. 금융당국은 구조조정 기업을 들고 있는 채권은행에 ‘준거 가격’을 제시하는 대신 매물을 많이 내놓을수록 성과평가(KPI)점수를 높이는 인센티브 제공을 검토 중이다.
18일 금융당국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시장 친화적 구조조정 펀드 총괄운용사인 한국성장사다리 금융은 연말 1호 펀드 모집공고를 낼 예정이다. 일정상 늦춰져도 내년 1·4분기 안에는 공고를 내고 펀드를 출범시킬 예정이다. 1호 펀드 규모는 계획했던 1조원은 채우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성장금융 측에서는 7,000억~1조원이라고 펀드 규모를 밝히고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연내에 공고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면서 “펀드 규모는 수요에 따라 자금을 집행하는 캐피털 콜(capital call) 방식이어서 약정금액은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시장 친화적 구조조정 펀드는 대우조선 사태 이후 민간 주도의 구조조정 활성화를 위해 제안됐다. 금융당국이나 채권은행 중심의 구조조정 방식에서 벗어나 사모펀드 운용사 등 민간이 선제적으로 기업을 인수해 사업재편으로 가치를 높이도록 구상됐다. 총 정책성 자금 4조원이 모(母) 펀드로 조성되고 여기에 민간투자금 4조원을 더한 자(子) 펀드를 통해 사모펀드(PEF) 운용사가 구조조정 기업을 인수한다.
펀드의 성공은 채권은행이 쥔 구조조정 기업을 매각 대상으로 내놓도록 유도하는 데 달려 있다. 금융당국은 채권은행이 과도하게 높은 가격을 부르지 않도록 제3의 기관을 통해 준거 가격을 제시하는 방안을 제시했지만 시장 친화적이지 않다는 반박이 일자 이를 철회하기로 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준거 가격이 불필요한 압박으로 작용하지 않고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맞게 가격이 정해지도록 둘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채권은행은 여신을 보유한 기업이 구조조정 대상인 부실채권으로 분류되면 여신 건전성 분류 기준이 내려가 충당금 부담이 커진다. 이 때문에 채권은행의 기업 여신 담당자는 매각 가격을 높게 부르는 방식으로 매각을 회피하고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채권은행의 구조조정 펀드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여신 건전성 규제와 개인성과평가를 포함해 다양한 인센티브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독립계 PEF나 금융지주사 계열 PEF 운용사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규제 완화도 논의하고 있다. 기업 인수 과정에서 지분뿐만 아니라 부동산 자산도 인수할 수 있도록 기업 재무안정 PEF 형태로 도입할 예정이다. 국민연금 등 연기금들이 기존 투자금으로 운용하는 PEF는 새로운 펀드를 조성하려면 이해 상충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됐다. 금융당국은 국민연금이 출자한 펀드는 블라인드(투자 대상기업을 정하지 않음) 형식으로 투자하고 기업 구조조정 펀드는 프로젝트(투자대상 기업을 설정) 형식으로 다른 방식으로 참여할 수 있게 설계했다. 사모펀드 운용사 관계자는 “반드시 시장 친화적 펀드의 자금을 받지 않아도 거래에 참여할 수 있도록 허용해달라고 요청했고 긍정적으로 논의하고 있다는 답변을 들었다”고 말했다.
펀드 운용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도 참여해 수익성이 높은 부실채권(NPL)자산을 내놓는다. 그 밖에 새 정부의 일자리 기조에 맞춰 구조조정 기업 인수 초기체질 개선을 위한 인력 구조조정을 하더라도 이후 일자리를 늘린다면 운용 보수를 높여주기로 했다.
민간에서는 구조조정 기업 투자 경험이 있는 큐캐피탈·에버베스트 등 중견 사모펀드 운용사와 미래에셋대우·신한금융투자 등 증권사 내 사모펀드 운용사에서 관심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