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향후 5년간 1,000개 지역스타기업 키워 양질의 일자리 6,000개 만든다

14개 시ㆍ도 지역주력산업 개편방안 확정

융복합 특화산업 및 스타기업 육성으로 신규일자리 창출 확대

정부가 혁신 성장에 정책의 무게 중심을 싣는 가운데 지역으로 확산을 위한 다양한 방안이 모색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19일 ‘2017년도 제1차 지역경제위원회’를 열고 ‘지역주력산업 개편방안’을 확정, 내년도 지역스타기업 육성방안과 테크노파크 기능개편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지역경제위원회에는 최수규 차관을 비롯해 비(非) 수도권 14개 광역지방자치단체 부단체장 등 17명이 참석했다.


위원회는 4차 산업혁명, 개방형 혁신 등 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정부 투자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기존 63개 주력산업을 48개로 조정하고, 융합산업의 비중을 확대하는 ‘주력산업 개편안’을 의결했다. 이에 따라 ‘제조-ICT간 융합산업’은 기존 7개에서 24개로 ‘제조-서비스업간 융합산업’은 7개에서 11개로 확대됐으며 선정된 48개 주력산업에 대해 연간 2,500억원(주력산업당 평균 52억원)을 투입해 지역의 주력산업 대상 중소기업에 대해 연구개발(R&D), 시제품 제작, 컨설팅 및 기술지도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또한 성장 잠재력이 높고, 일자리 창출 등 지역사회 공헌이 우수한 중소기업을 ‘지역스타기업’으로 지정, ‘전담PM’ 매칭에서 부터 사업화 촉진, 상용화 R&D 등 지원하는 방안도 추진키로 했다. 그동안 일부지자체에서 자체적으로 운영 중인 지역기업의 성장모델을 전국으로 확산시켜, 향후 지역산업의 성장을 견인할 중추기업을 육성한다는 계획으로, 내년부터 2022년까지 향후 5년간 지역스타기업 1,000개를 선정, 성장을 집중 지원하여 그중 200개를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진입시키고, 양질의 일자리 6,000개를 창출할 계획이다.

지역 기술혁신거점기관으로서의 테크노파크 위상 정립을 위해 ‘테크노파크 기능개편 방안’도 논의했다. 그간 테크노파크는 지역산업 육성 기관으로서, 지역산업기획, 기업지원을 통해 지역균형발전을 선도했으나, 미래 환경변화에 대응한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지 못했다는 지적에 따라 현재의 백화점식 지원에서 벗어나 시제품 제작 및 기술컨설팅 등 지역의 기술혁신 전문기관으로 개편할 계획으로, 오늘 논의된 결과를 반영, 전문가 의견 수렴을 거쳐 11월중 확정할 계획이다.

최수규 차관은 “주력산업 개편을 통해 그 동안 산업부에서 수행하던 지역산업 육성사업이 금년 정부조직 개편으로 중기부로 이관됨으로써, 중소기업 육성 전담부처로서의 강점을 살려 지역산업 육성이 지역기업 육성으로 이어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정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