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허창수 GS 회장 "인도 신사업, 철저한 현지화로 공략을"

뉴델리서 계열사 사장단회의

중기 해외진출 가교역할도 주문

허창수 GS그룹 회장이 1일 인도에서 사장단 회의를 주재하고 난 뒤 GS홈쇼핑의 인도 현지 합작 홈쇼핑 ‘홈숍18’ 스튜디오를 방문해 제품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제공=GS그룹허창수 GS그룹 회장이 1일 인도에서 사장단 회의를 주재하고 난 뒤 GS홈쇼핑의 인도 현지 합작 홈쇼핑 ‘홈숍18’ 스튜디오를 방문해 제품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제공=GS그룹




허창수 GS(078930)그룹 회장이 장기적 관점의 전략 수립과 철저한 현지화를 통해 거대 시장으로 발돋움하는 인도에 적극적으로 진출할 것을 독려했다.


GS그룹은 허 회장이 지난 1일부터 이틀간 인도 뉴델리에서 사장단회의를 직접 주재하고 시장 진출 확대 및 미래 성장전략에 대해 논의했다고 2일 밝혔다.

GS그룹은 2011년 중국을 시작으로 싱가포르와 베트남·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 등 성장하는 해외 시장에서 사장단 회의를 열고 있다. 올해는 세계 3위의 경제 대국으로 급성장하는 인도에서 처음 회의를 개최했다.


허 회장은 “인도는 연평균 성장률 7%대의 거대 내수 시장이 있고 중동·유럽 시장 진출의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는 등 전략적 가치가 매우 큰 나라”며 “인도에서 축적한 값진 현지화 경험과 신뢰를 바탕으로 기존 사업의 수익을 늘려나가고 새로운 사업에 적극적으로 진출해달라”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현재 GS그룹의 일부 계열사가 인도에 진출한 상태다. GS칼텍스는 인도법인을 통해 윤활유를 판매 중이고 GS홈쇼핑은 인도 투자법인 ‘홈숍18’을 통해 국내 우수 중소기업 상품을 인도에 수출하고 있다. GS건설은 델리와 뭄바이에 설계법인을 설립해 운영 중이고 GS글로벌은 뉴델리에 지사를 두고 철강 중심의 무역을 진행하고 있다.

허 회장은 성공적인 사업 진출을 위해서는 현지화와 장기적 관점에서의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 지역 문화를 잘 이해하고 전문성을 가진 현지 우수 인력을 확보하는 등 장기적인 관점에서 사업전략을 수립하는 한편 현지화 노력도 철저해야 한다”며 “급증하는 인도 중산층의 구매력에 대응하려면 혁신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제품과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을 갖춰야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GS홈쇼핑이 진행하고 있는 중소기업과의 협력 모델에 대해서도 비중 있게 언급했다. 허 회장은 “GS는 국내 중소기업의 제품 수출과 해외사업 확대를 지원하는 등 상생 비즈니스 모델을 활성화하는 데도 적극 나서야 한다”며 “GS홈쇼핑이 국내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을 적극적으로 돕는 가교 역할을 하는 것은 좋은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