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현장에서] JY '실리콘밸리식 DNA' 뿌리 내리나

외국인 CEO로 글로벌 경영 강화

"세상 바꾸는 기술·제품 도전해야"



만약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2일 단행된 사장단 인사를 봤다면 어떤 부분에 주목했을까. 아마 삼성 최초로 외국인 사장에 오른 ‘팀 백스터(북미총괄 사장)’에 눈이 멈췄을 것이다. 이 회장은 지난 1993년 미국 로스앤젤레스(LA)의 가전 매장 방문 당시를 떠올렸을 듯싶다. 매장 귀퉁이에서 먼지만 수북이 쌓인 채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았던 문제의 ‘삼성 TV’ 말이다. 이 회장은 이때 받은 충격으로 글로벌 인재 영입에 더 욕심을 냈다. 이제 삼성의 생활가전은 미국에서 6분기 연속 점유율 1위로 전 세계를 호령하고 있다. 삼성을 ‘인재의 용광로(melting pot)’로 만들려는 이런 노력이 밀알이 돼 25년이 지나 최초의 외국인 사장이 배출됐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금 삼성은 79개국에 진출해 연구개발(R&D) 센터만 25개국에 둘 만큼 컸다. 삼성의 해외 매출 비중도 90%에 이른다. 첫 외국인 사장 배출이 만시지탄으로 느껴지는 이유다.

삼성의 성장 과정을 복기해보면 결정적인 변곡점이 있었다. 1993년 LA 가전 매장에서의 충격이 기폭제가 돼 선포된 ‘신경영’이 그렇다. 신경영 이후 삼성은 이병철 선대회장과는 다른 길을 밟았다. 선대 회장이 일본식 경영에 밀착했다면 이 회장은 여기에 미국식 경영을 접목해 삼성만의 ‘하이브리드 경영’을 꾀했다. 요체는 빠른 결정과 실행. 이를 비법으로 삼성은 반도체·스마트폰·생활가전 등 주력 산업에서 정점에 설 수 있었다.

문제는 지금부터다. 삼성은 더는 추격자가 아니다. 1등은 스피드 그 이상으로 방향성이 중요하다. 이 회장이 ‘패스트팔로어(Fast Follwer·빠른 추격자)’ 전략으로 톱이 됐다면 이재용 부회장은 세상을 바꾸는 기술과 제품에 도전해야 한다. 4차 산업혁명을 맞아 피할 수 없는 과제다.


이 부회장은 실리콘밸리식 경영을 추구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선택과 집중’을 통해 속도감 있게 성장을 꾀하는 게 핵심이다. 그는 상무보 시절인 2002년 미국 뉴욕주에 위치한 GE리더십개발센터에서 한 달간 교육을 받았다. ‘GE의 경영사관학교’였다. 이 부회장이 2014~2015년 방산 및 화학 부문을 한화와 롯데에 과감하게 정리할 수 있었던 데는 이런 경험들이 바탕에 깔려 있다는 평가다.

관련기사



재계는 이런 이 부회장의 ‘경영 DNA’가 이번 사장단 인사에 반영된 것으로 본다. 외국인 최고경영자(CEO)를 통한 현지 경영 강화, 변화무쌍한 정보기술(IT)산업에 기민하게 대응하기 위한 경영진 세대교체, 미래 사업 발굴을 위한 태스크포스(TF) 신설 등은 그 방증이다. 한 임원은 “사업 부문에서는 3명(김기남·김현석·고동진)의 테크노 CEO, 계열사 간 투자 조정은 현업에 복귀한 정현호 사장을 중심으로 역할 분담이 있을 것”이라며 “고삐를 바짝 죌 때”라고 말했다.

이사회 중심 경영이 정착될지 여부도 관전 포인트다. 삼성은 차기 의장에 이상훈 사장을 올리면서 사외이사를 1명 더 충원해야 한다. 시장에서는 기업 CEO 출신 외국인 입성을 유력하게 본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선진경영을 제도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해서라도 최고의사 결정기구로서 이사회에 힘이 실릴 것”이라며 “경영일선에서 물러난 이상훈 차기 의장이 이와 관련한 모종의 역할을 부여받았을 수 있다”고 봤다.

삼성의 한 고위 임원은 이번 인사를 두고 “한 시대가 가고 새 시대가 오는 느낌”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하지만 역대 최대 실적 속에서 새 시대를 맞았음에도 오너 부재의 삼성은 위기 한가운데 서 있다. 1등 기업으로서 책임과 성장 사이에서 길을 잃지 않을까 우려도 크다. ‘씨앗’을 뿌리는 일은 총수 몫이란 점에서 이 부회장의 부재가 아쉬울 수밖에 없는 삼성이다.

이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