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문턱 낮고 해외근무도 가능...한국어선생님 되기 열풍

교원 자격증 신청 10년새 8배↑

30~40대 여성 희망자 가장 많고

은퇴한 중장년 남성들 관심 높아

해외취업 목표로 공부한다면

처우·지역정보 등 사전준비 필수





지난 9월 5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학교에서 열린 세종학당 한국어 교원 양성과정 현장실습에 참가한 교원들이 개회식을 마치고 단체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세종학당재단지난 9월 5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학교에서 열린 세종학당 한국어 교원 양성과정 현장실습에 참가한 교원들이 개회식을 마치고 단체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세종학당재단


25년간 대기업에 근무하고 얼마 전 퇴직한 50대 후반의 A씨. 퇴직 후 삶을 그려보던 A씨는 최근 서울의 한 사이버대가 개설한 한국어학과에 지원하기로 결심했다. 다년간의 타국 근무 경험을 살려 외국인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쳐주고 싶다는 마음에서다. 그는 “보수는 많다고 할 수 없고 가족과 떨어져 있어야 하지만 은퇴 후 새로운 목표가 생겼다는 점에서 기대된다”고 말했다. A씨는 요즘 비슷한 상황에 놓인 친구들에게 같은 수업을 듣자고 적극 홍보하고 다닌다.

해외에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가르칠 수 있는 ‘한국어교원’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한국어를 공부하려는 외국인 수요와 이들을 직접 가르치려는 한국어교원 지원자 모두 크게 늘어나는 추세다.

9일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외국인·재외동포를 대상으로 한국어를 가르칠 수 있는 ‘한국어교원 자격증’ 심사 신청자는 최근 10년 사이 8배나 늘었다. 지난 2007년 790명이던 한국어교원 개인자격심사 신청자는 지난해 6,304명으로 797% 증가했다. 특히 2012년부터 2015년까지 매년 평균 1,000명 이상 신청자가 늘어날 정도로 관심이 급증했다. 올해 2월 기준으로 1~3급 자격증을 가진 한국어교원은 총 2만9,334명이다. 성별로는 여성, 연령대로는 30~40대에서 희망자가 많았다. 은퇴한 장년층들의 관심도 높은 편이다.


문턱이 높은 편이 아니라는 점도 인기에 한몫을 했다. 한국어교원 자격증이 도입된 2006년 이후 총 3만1,796명이 신청했고 합격률은 92.3%에 달했다. 첫해에만 합격률이 49.5%에 그쳤을 뿐 이후 대부분 95% 전후의 합격률을 유지했다. 한국어교원 자격증은 대학이나 대학원·학점은행제에서 국어국문 또는 한국어 관련 학위 취득을 통해 받을 수 있으며 2·3급 자격증의 경우 각종 기관 교육을 통한 비학위 과정으로도 취득할 수 있다. 일부 사이버대들은 한국어교원 자격증 취득을 목표로 하는 학과를 개설해 인기를 끌고 있다.

관련기사



한국어교원은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수요가 늘고 있다. 해외 선교 활동을 위해 자격증을 취득하는 경우도 많다. 정부가 지원하는 세종학당은 매년 두 자릿수의 한국어교원을 뽑아 전 세계 58개국, 144개 학당에 파견하고 있다.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는 외국 학교의 요청을 받아 파견을 지원하기도 한다. 전 세계 사설 한글학당과 국내외 기업들도 한국어교원을 수시로 뽑고 있다.

다만 해외 취업을 목표로 한다면 사전 정보를 숙지하고 자신의 성향과 맞는지 파악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한국어교원 파견은 수요가 동남아시아 등 개발도상국에 치우쳐 있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또 현지 기관과 계약을 맺는 형태로 채용되면 국내에 비해 임금이 상대적으로 적을 가능성이 높다. 아울러 현지 학교, 사설 한글학교와 직접 고용계약을 맺는 경우도 많아 주의가 요구된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