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평창 G-86] "일체의 적대행위 중단"…유엔 '평창 휴전' 만장일치 채택

"평화·관용·이해 분위기 조성

의미있는 기회" 기대 표명

특별연사로 나선 김연아

"올림픽 정신 공유자리 될 것"

이희범·도종환 등 총출동

회원국에 평창올림픽 홍보

이희범(왼쪽부터) 평창 동계올림픽 조직위원장과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피겨여왕 김연아, 장애인 아이스하키 국가대표 정승환이 14일(한국시간) 유엔 총회에 참석해 올림픽 휴전결의안 채택에 관한 설명을 듣고 있다.  /뉴욕=AP연합뉴스이희범(왼쪽부터) 평창 동계올림픽 조직위원장과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피겨여왕 김연아, 장애인 아이스하키 국가대표 정승환이 14일(한국시간) 유엔 총회에 참석해 올림픽 휴전결의안 채택에 관한 설명을 듣고 있다. /뉴욕=AP연합뉴스




유엔이 13일(현지시간) 내년 2월 개최되는 평창동계올림픽을 전후해 일체의 적대행위를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유엔은 이날 제72차 유엔 총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올림픽의 이상과 스포츠를 통한 평화롭고 더 나은 세계 건설’이라는 명칭의 평창동계올림픽 휴전결의안을 표결 없는 컨센서스(전원 동의)로 채택했다. 이견이 없어 사실상 만장일치로 채택한 것이다. 결의는 “제23회 동계올림픽대회 및 제12회 동계패럴림픽대회가 각각 2018년 2월9일부터 25일, 3월9일부터 18일까지 대한민국 평창에서 개최되는 것을 주목한다”면서 “회원국들이 평창에서 개최될 동계올림픽 개막 7일 전부터 동계패럴림픽 폐막 7일 후까지 유엔 헌장의 틀 내에서 올림픽 휴전을 개별적으로, 또한 집단적으로 준수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결의는 특히 “평창동계올림픽이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 개발, 관용과 이해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의미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는 기대를 표명한다”고 강조했다. 올림픽 휴전결의는 올림픽 기간에 일체의 적대행위를 중단한 고대 그리스 전통을 이어받아 올림픽 주최국 주도하에 지난 1993년 이후 하계·동계올림픽이 열리는 시기에 2년마다 유엔 총회에서 채택해왔다.

관련기사



이날 유엔 총회에서는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홍보대사인 ‘피겨 여왕’ 김연아가 특별연사로 연단에 올라 평화의 메시지를 전달했다. 약 4분간 영어로 진행한 연설에서 2010 밴쿠버올림픽 피겨 금메달리스트로서 개인적 경험을 담아 ‘올림픽 정신’을 강조했다.

김연아는 “두 차례 올림픽 참가자이자 유니세프 국제친선대사로서 인종·지역·언어·종교의 벽을 뛰어넘는 스포츠의 힘을 체험했다”며 “(2000년 호주 시드니올림픽 때인) 열 살 때 남북 선수단이 경기장에 동시 입장하는 것을 지켜보면서 처음으로 스포츠의 힘을 느꼈다”고 말했다. 김연아는 “평창올림픽 대표단은 남북한 사이의 얼어붙은 국경을 뛰어넘어 평화적 환경을 조성하려고 최선의 노력을 다해왔다”면서 “평창올림픽은 평화와 인류애라는 올림픽 정신을 전 세계인들과 공유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희범 평창올림픽조직위원장도 기조연설을 통해 “문재인 대통령이 최근 유엔 총회에서 한반도 평화를 강조했듯 한국 정부는 안전하고 평화로운 올림픽을 보장한다”면서 “한국은 전 세계를 환영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전 세계는 올림픽이라는 스포츠를 통해 평화를 이뤄왔고 1988년 서울올림픽이 그 대표적 사례”라며 “특히 평창올림픽은 동북아의 평화와 경제적 번영을 이끄는 창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유엔 총회에는 김연아를 비롯해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이끄는 정부 대표단이 총출동했다. 10명으로 구성된 대표단에는 조태열 유엔 주재 대사, 박은하 외교부 공공외교대사, 송석두 강원도 부지사, 평창올림픽 홍보대사인 정승환 장애인 아이스하키 국가대표도 참여했다. 대표단은 별도로 유엔본부에서 외신 기자회견을 하고 평창올림픽 준비 상황을 설명했다. 김연아는 북한 선수가 피겨 페어 종목에서 출전권을 확보한 것을 거론하며 “제 종목에서 출전권을 얻었는데 선수 시절에는 만나보지 못했던 북한 선수들이 꼭 경기에 참가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피겨스케이팅 갈라 무대에 나설 가능성에 대해서는 2014년 은퇴한 사실을 거론하며 “갈라 참여는 어려울 것”이라고 답변했다. 개막식 성화 봉송의 마지막 주자로 거론되는 데 대해서는 “마지막 주자가 된다면 영광일 것”이라고 밝혔다.

김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