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유엔, ‘평창 올림픽 휴전결의’ 채택…北 선택은?

올림픽 전후로 “일체의 적대행위 중단” 촉구

유엔은 13일(현지시간) 내년 2월 개최되는 평창 동계올림픽을 전후해 모든 적대 행위를 중단할 것을 촉구하는 휴전 결의안을 채택했다.

유엔은 이날 제72차 유엔 총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올림픽의 이상과 스포츠를 통한 평화롭고 더 나은 세계 건설’이란 명칭의 평창 동계올림픽 휴전 결의안을 사실상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올림픽 휴전결의는 올림픽 기간 일체의 적대 행위를 중단한 고대 그리스의 전통을 이어받아 올림픽 주최국 주도 아래 1993년 이후 하계·동계올림픽이 열리는 시기에 2년마다 유엔 총회에서 채택해왔다.

이번엔 북핵 위협으로 긴장이 고조된 측면이 있어 휴전결의가 갖는 상징적 의미는 더욱 커졌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결의는 “제23회 동계올림픽대회 및 제12회 동계패럴림픽대회가 각각 2018년 2월 9일부터 25일, 3월 9일부터 18일까지 대한민국 평창에서 개최되는 것을 주목한다”면서 “회원국들이 평창에서 개최될 동계올림픽 개막 7일 전부터 동계패럴림픽 폐막 7일 후까지 유엔헌장의 틀 내에서 올림픽 휴전을 개별적으로, 또한 집단적으로 준수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어 대회에 참가하는 선수와 임원진을 포함한 모든 관련 인사들의 안전한 통행과 접근 및 참가를 보장할 것을 주문했다.

관련기사



결의는 특히 “평창 동계올림픽이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 개발, 관용과 이해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의미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는 기대를 표명한다”고 강조했다.

또 결의안은 내년 평창 동계올림픽은 2020년 도쿄 올림픽,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으로 이어지는 ‘아시아 3연속’ 올림픽 대회의 시작이라고 설명하고 “스포츠와 다른 분야에서 한국, 일본, 중국의 새로운 파트너십 가능성을 상기한다”고 제안했다.

이번 휴전결의는 주 제안국인 우리 정부 주도로 초안을 작성했으며, 유엔 회원국 간 문안 협상 과정을 거쳐 마련됐다. 미국, 중국, 러시아를 포함한 150여 개국이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했다.

유엔 총회에는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 정부대표단이 참석했으며, 결의채택에 앞서 이희범 평창올림픽조직위원장이 결의안을 소개한 뒤 홍보대사인 ‘피겨 여왕’ 김연아 선수가 채택을 호소해 눈길을 끌었다.

/뉴욕 = 손철 특파원 runiron@sedaily.com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