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부산·울산·경남 1,000만 인구를 아우르는 메가로폴리스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거점도시로 거듭난다. 부산시는 최상위 도시정책계획인 ‘2030년 부산도시기본계획’을 최종 확정했다고 14일 밝혔다. 2030 부산도시기본계획은 부산시 최상위 공간계획으로서 부산의 미래상과 발전전략은 물론 도시계획의 패러다임과 주요 현안사업에 대한 실현 방안, 인구 1,000만의 메가로폴리스를 지향하는 부산권의 실천 방안 등을 담았다.
부산시는 먼저 부·울·경의 1,000만 인구 메가로폴리스로서 부산권 발전전략을 제시했다. 메가로폴리스로서의 부산권 개념은 부산이 부·울·경 1,000만 인구의 광역중심으로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부산의 매력과 잠재력 활용으로 대외 영향력을 확산하자는 개념이다. 2030년 부산 인구는 자연인구 350만명에다 각종 개발사업에 외부 유입률을 적용한 사회적 유입인구 60만명이 늘어난 총 410만명으로 계획됐다.
주요발전 전략으로는 부·울·경을 통합하는 부산권을 설정하고, 광양·부산·울산 등 인접지역을 90분 이내로 연결하는 삶을 공유하는 광역권 형성을 제시했다. 또 경제·관광 등을 네트워크화해 반나절 생활교통망을 구축하고 광양~부산~포항에 걸친 300km에 이르는 해양산업벨트를 연계시킨 해양산업클러스터를 조성하는 방안도 내놨다.
부산권 경쟁력 확보를 위한 공간구조도 개편하기로 했다. 1,000만 부산권 성장 견인과 메가로폴리스로서의 경쟁력 확보, 부산시의 균형발전 측면을 고려해 기존 2도심, 6부도심, 4지역 중심으로 설정됐던 공간구조에서 1광역중심, 4도심, 6부도심, 5지역 특화권으로 재편한다는 것이다. 4도심에는 기존 서면, 광복 2개의 도심 외에 중심지로 성장하고 있는 강서, 해운대 지역이 포함된다. 배후에서 이를 지원할 수 있도록 김해신공항 등을 고려한 6부도심과 지역별 도시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는 5개의 지역특화핵도 설정한다.
부산시는 도시기본계획의 실현을 위해 부산을 3개 생활권으로 구분하고, 생활권별 발전방향과 실천전략을 제시했다. 서부산 권역은 신공항을 중심으로 한 물류, 산업, 주거, 관광이 연계되는 글로벌 관문도시로서 주거매력도 강화와 산업체질 개선을 통한 산업재생을 목표로 정했다. 이를 위해 2026년 신공항 개항을 목표로 해운과 항공의 연계 인프라를 단계적으로 구축하고, 스마트 산업 및 물류 강화를 위한 기반시설 강화와 순환재생형 산업단지를 조성함으로써 글로벌 주거, 문화, 관광을 위한 자족도시 환경을 마련하기로 했다.
중부산권은 북항재개발에서 역세권과 구릉지 재생을 아우르는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을 순차적으로 시행한다. 226개소의 재생사업과 역세권 개발 등 각종 원도심 재생사업을 통해 경쟁력을 지속시키고, 행복주택, 부산외대 이전부지 개발 등을 통해 도시공간을 재창조할 계획이다. 이미 진행 중인 북항재개발 2단계를 2030년까지 완료해 해양신산업 클러스터 등과 연계한다.
동부산권은 바이오, 에너지 등 미래형 첨단산업의 메카로서 관광휴양개발과 친환경 주거 인프라 확충 등 주거 트랜드 변화와 친환경 산업수요를 결합한 지역특화개발을 한다. 센텀2 도시첨단산업단지 개발 등을 통해 미래형 첨단산업을 육성하고, 접경지역 주거단지 조성 등으로 미래 주거수요에도 대비할 계획이다. 기반시설 계획으로 고속간선망 도로는 7 x(바이)7축 구축으로 부산 전 지역의 고속 접근체계를 갖춘다. 부산광역경제권의 유기적 연계가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순환도로 4축과 지하도로망 1바이5축으로 도심 교통체증도 완화한다. 철도계획은 KTX 김해신공항 연계망 확보와 166km에 이르는 철도노선의 신설과 확장으로 부산권 물류네트워크 조성은 물론 관광객 증가 등의 수요를 고려한 선제적 계획을 수립했다.
동천ㆍ부전천 생태복원, 금정근린공원 등 실현이 가능한 공원계획을 중심으로 2030년 1인당 공원·녹지 면적은 기정계획보다 4.9㎡ 증가한 21.4㎡로 계획했다. 신재생에너지 분담률은 기존 1.9%에서 30%까지 올리기로 했다. 또 기존 온실가스배출량 2,221만9,000톤의 37%를 감축시키고 미세먼지도 기존 28㎍/㎡/년에서 20㎍/㎥/년으로 29%를 저감시킨다는 계획이다.
이 밖에 2030년까지 부산시에서 확보해야 할 주거용지는 7.5k㎡ 늘어난 154.7k㎡로, 상업용지는 2.6k㎡ 증가한 36.6k㎡로 계획했다. 공업용지의 경우는 6.3k㎡ 증가한 86.8k㎡로 만드는 등 주거용지, 상업용지, 공업용지의 선제적 확보계획을 통해 2030년 미래 성장을 고려한 토지이용의 토대를 마련했다. 부산시는 주거용지 확충으로 임대주택 7만호를 포함한 12만6,000호의 주택을 추가로 공급할 수 있고, 상업용지의 확대로 26만8,000개의 일자리 공급과 3만5,000개의 신규 사업체가 창출 될 것으로 내다봤다. 또 공업용지의 추가 공급으로 17만5,000개의 일자리 공급과 3만개의 신규사업체가 창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2030년 도시기본계획은 시민계획단 운영 등 관련 절차를 거쳐 이달 15일 확정공고 예정”이라며 “공고와 동시에 도시관리계획, 주거환경 정비계획 및 도시재생계획, 도로, 공원·녹지계획 등 각종 부문별 계획의 최상위계획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