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37년 만에 쌀 생산량 최소…400만t 미달

올해 쌀 생산량이 지난 1980년 이후 37년 만에 가장 적은 수준으로 줄었다. 재배면적이 지속적으로 준 데다 정부의 적정생산유도 정책의 영향이다.

통계청은 2017년 쌀 생산량 조사 결과 올해 쌀 생산량이 397만2,000톤으로 지난해 (419만7,000톤)보다 5.3% 감소했다고 14일 밝혔다. 전국적인 냉해 피해를 봤던 1980년의 355만톤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이다. 쌀 생산량은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감소했고 최근 10년 동안 400만톤 아래로 떨어진 적은 없었다.


총 생산량을 현백률(현미를 쌀로 환산하는 비율) 12분도(90.4%)를 적용하면 386만6,000톤이다.

관련기사



쌀 재배면적은 지난해 77만8,734㏊에서 올해 75만4,713㏊로 3.1% 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관계자는 “재배면적 감소에 정부의 쌀 적정생산유도 정책에 의한 타 작물 전환 등으로 쌀 생산량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10아르(a)당 생산량은 지난해 539㎏에서 올해 527㎏으로 2.2% 감소했다. 모내기 시기의 가뭄과 낟알이 형성되는 시기의 잦은 강수, 일조시간 감소 등이 영향을 미쳤다. 올해 쌀 생산량을 도별(현백률 9분도 기준)로 보면 전남이 82만7,000톤으로 가장 많았고 충남(72만1,000톤), 전북(65만5,000톤)이 뒤를 이었다.

강광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