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LG CNS, 방글라데시·바레인에 전자정부 기술 알린다

방글라데시 해상안전운항 시스템, 바레인 건강보험 시스템 사업 수주

2006년부터 전자정부 수출…20개국 40여건에 총액 2억 5,000만달러 돌파

LG CNS와 방글라데시 선박부 관계자들이 최근 방글라데시 현지에서 해상안전운항시스템 구축 사업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앞줄 왼쪽부터)배상헌 LG CNS 공공사업담당 배상헌 팀장, 정운열 LG CNS 공공사업담당 상무, 샤자한 칸 방글라데시 선박부 장관. 방글라데시 샤에드 아리플 이슬람 선박청 청장. /사진제공=LG CNSLG CNS와 방글라데시 선박부 관계자들이 최근 방글라데시 현지에서 해상안전운항시스템 구축 사업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앞줄 왼쪽부터)배상헌 LG CNS 공공사업담당 배상헌 팀장, 정운열 LG CNS 공공사업담당 상무, 샤자한 칸 방글라데시 선박부 장관. 방글라데시 샤에드 아리플 이슬람 선박청 청장. /사진제공=LG CNS


구분 내용
2006 인도네시아 경찰청 프로젝트
2008 사우디 교육부 스마트 스쿨 사업
2009 인도네시아 재무부 재정정보 프로젝트(SPAN)
2009 몽골 긴급 구조망 프로젝트
2012 바레인 온라인 법인 등기 시스템 사업
2013 콜롬비아 ICT 교육역량 강화사업
2016 우즈베키스탄 전자도서관
2016 라오스 조세행정정보시스템 구축사업
2016 우즈베키스탄 국가지리정보 시스템 구축사업
2017 바레인 SIJILAT(구BLIS) 고도화/유지보수 사업
2017 바레인 건강보험시스템 구축 사업
2017 방글라데시 해상안전운항 시스템 구축 사업


LG CNS가 방글라데시 해상안전운항 시스템과 바레인 건강보험 시스템 구축 등 해외의 주요 전자정부 사업을 잇따라 수주하는 쾌거를 거뒀다.

LG CNS는 최근 방글라데시 선박관련 행정 및 선박 항행을 관장하는 방글라데시 선박부와 ‘해상안전운항시스템 구축사업’ 계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사업은 방글라데시 남쪽에 위치한 벵골만을 운행하는 선박과 해안 무선기지국 및 관제센터간의 정보전달시스템을 구축하는 프로젝트로 ‘해상조난통신’과 ‘통합항행안전지원’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관련기사



해상조난통신 체계는 위급상황의 선박이 조난 신호를 보내면 해안 무선기지국을 통해 지상의 관세센터에서 정보를 전달받아 상황을 중계하고 구조활동 수행을 가능케 하는 통신 체계이며, 통합항행안전지원 체계는 선박의 위치, 경로, 속력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제, 모니터링해 조난 발생 시 상황을 전파하고 구조활동을 지원하는 체계다. 이번 사업으로 방글라데시는 최첨단의 해상안전운항 통신 체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됐다. 벵골만은 지리적 특성상 방글라데시, 인도, 미얀마 등 인접 국가들의 주요 항구가 위치하고 있어 선박 이동량이 많으나, 현재 방글라데시는 세계해사기구(IMO)가 권고하는 해상안전운항시스템을 갖추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수출입은행 경제협력개발기금(EDCF)으로 추진된 이번 사업은 앞으로 2년간의 시스템 구축 과정을 거쳐 오는 2019년 말 오픈 예정이다.

이에 앞서 LG CNS는 지난달 바레인 국가건강보험 시스템 사업도 수주했다. 이 사업은 바레인 보건최고위원회에 보험 청구와 심사 업무, 의약품 안심 서비스, 보험 통계 정보 제공 등 종합 건강보험시스템을 구축하는 사업으로 대한민국 건강보험 시스템의 첫 해외 수출 사례다. 바레인 정부가 건강보험 개혁을 위해 자체 예산을 들여 추진하는 것으로, 정부간 협력을 통해 우리나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프로젝트를 총괄하고, LG CNS가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LG CNS는 기존 국내 건강보험 시스템을 구축한 IT 역량을 인정받아 대기업 참여제한 예외 적용 대상이 됐다.

지난 1993년부터 전자정부 사업을 해온 LG CNS는 전자민원, 특허, 현금영수증, 교통 시스템 등 국내 전자정부에 구축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꾸준히 해외 전자정부 사업 수출 성과를 내고 있다. 지난 2006년 인도네시아 경찰청 사업을 시작으로, 사우디아라비아 스마트스쿨, 인도네시아 재정정보, 콜롬비아 ICT 교육, 라오스 조세행정정보, 우즈베키스탄 통합플랫폼 구축 사업 등 지금까지 전 세계 20여개국에 약40여건의 전자정부 시스템을 구축해왔다. 이에 따라 전자정부 시스템이 총 해외수출액도 2억5,000만달러를 돌파했다. 올 초에는 UN의 전자정부시스템 평가 결과 LG CNS가 개발한 전자정부시스템이 걸프 지역에서 1위를 차지하며 기술력을 입증하기도 했다.

LG CNS 관계자는 “SW산업진흥법 개정으로 인한 대기업 공공사업 참여 제한이라는 어려운 조건 속에서도 성공적인 해외 전자정부 사업을 수행해오고 있다”며 “세계 최고의 대한민국 전자정부 기술을 더 발전시키기 위해, 대한민국 대표 IT서비스 기업으로서 앞으로는 AI, 빅데이터 등을 결합한 지능형 전자정부 구축을 위해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