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지하철9호선, 30일부터 6일간 부분파업…열차 정상운행될듯

지하철9호선, 30일부터 6일간 부분파업…열차 정상운행될듯




서울지하철 9호선 노동자들이 “승객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인력을 충원하고 차량을 증편해야 한다”고 요구하면서 30일부터 엿새간 부분파업을 돌입한다고 예고했다.


이에 9호선을 위탁 운영하는 민간업체 ‘서울9호선운영㈜’은 비상수송 계획을 가동해 노조가 파업하더라도 출퇴근 시간을 포함한 모든 열차를 정상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노총 전국공공운수노조 서울9호선운영노조는 27일 오전 서울 중구 민주노총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살인적인 노동 강도와 턱없이 부족한 인력이 9호선을 ‘지옥철’로 만들고 있다”며 부분파업 계획을 밝혔다.

9호선 노조는 “1∼8호선은 직원 1인당 수송인력이 16만 명인데 9호선은 26만여 명에 달할 정도로 이용객 대비 인력이 부족하다”면서 “기관사들은 다른 호선보다 2∼3일 더 일하고, 기술직원은 한 달에 3일 이상씩 휴일에도 일한다”고 토로했다.

이들은 “이명박 시장 당시 서울시가 총사업비 약 84%를 투자해놓고 16%만 투자한 민간자본에 운영권을 넘겼다”면서 “지금은 운영권이 프랑스 회사 ‘RDTA’로 넘어가 9호선에서 수익이 나면 외국 투자자들의 주머니로 돌아간다”고 지적했다.

이어 “RDTA는 당기순이익 중 일정 비율을 배당액으로 정하고 근로조건 개선은 나머지 돈에 맞춰서 하려 한다”며 “최근 교섭에서 ‘성과급을 깎아 그 돈으로 인력을 충원하자’고 제안하면서 파업 대비 대체 인력을 교육하기도 했다”고 규탄했다.


이들은 “전체 조합원 약 88%가 참여한 쟁의 찬반투표에서 약 85% 찬성률로 파업을 가결했다”면서 “사측은 배당·수수료를 축소해 차량을 증편하고 적정인력을 충원하고, 서울시는 관리·감독 주체로서 문제 해결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관련기사



9호선 노조는 이달 30일부터 내달 5일까지 6일 동안 1차 경고파업에 돌입한다.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출근 시간인 오전 7∼9시에는 100% 운행을 유지하고, 퇴근 시간인 오후 5∼7시에는 85% 운행한다. 나머지 시간대에는 50% 운행한다.

노조는 이에 앞서 27일부터 사측이 요구하는 배차 간격을 지키지 못하더라도 승객을 무리하게 태우지 않는 등 안전 수칙을 준수하는 ‘준법투쟁’에 돌입했다. 노조 측은 이로 인해 열차가 다소 지연되는 점을 양해해달라고 당부했다.

노조가 파업을 예고하자 사측인 ‘서울9호선운영㈜’은 열차 운행 정상화를 위한 비상수송대책을 수립해뒀기 때문에 노조가 파업하더라도 출퇴근 러시아워를 포함한 모든 열차가 정상적으로 운행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측은 “시민의 안전과 편의를 최우선으로 고려하면서 진정성 있는 노사 간 교섭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노동 강도가 1∼8호선보다 강하다는 노조의 주장에 대해서는 “노선별로 열차운행시스템 등에 따라 운영과 근무 방식에 일부 차이가 있기 때문에 단순 비교는 무리다”며 “노동 강도와 운영 안전성에 대한 노조 주장은 일방적”이라고 반박했다.

9호선 기관사의 보수(지난해 기준 4천700만원)가 다른 운영사 대비 높은 수준이며, 월평균 근로시간 160시간을 기준으로 하면 연간 근로시간은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기관사보다 60시간 적다는 주장이다.

[사진=연합뉴스]

전종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