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한뼘 미술관] 고흐와 고갱, 그녀를 향한 서로 다른 시선

<3> 아를의 여인 '지누부인' 초상화

고흐와 고갱은 똑같이 지누부인의 모습을 그리는데

고흐는 교양있는 여자로, 고갱은 술집마담으로 묘사

둘 사이의 미묘한 감정이 그림에 고스란히 드러나

같은 사물을 어떻게 바라보느냐 따라 결과물 달라져

12


다시 한 번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1853~1890) 이야기를 갖고 돌아왔습니다. 워낙 유명한 화가인 만큼 작품에 얽힌 흥미로운 이야기가 많은데요. 일단 고흐 하면 빼놓을 수 없는 얘기가 정신적 지주이자 친구이면서 라이벌이었던 폴 고갱(Paul Gauguin·1848~1903)입니다.

고흐는 1888년 2월 프랑스 남부 아를에 처음 왔을 때 묵었던 카페(술집)에서 지누 부인이라는 한 여인을 만나게 되는데요. 이곳에서 고갱도 함께 지내게 됐죠.


지누 부인은 고흐가 이곳에 정착할 수 있도록 물심양면으로 도움을 줬던 여인입니다. 그런 고흐는 그녀에게 감사한 마음을 전하기 위해 초상화를 그려주기로 마음먹게 됩니다. 평소 그리던 초상화보다 더 잘해주고 싶어 기왕이면 품위있는 전통복장을 입도록 부탁했고, 그녀 앞에 여러 권의 책을 놓게 했습니다. 그래서 술집주인인 지누 부인을 평소 고흐가 느끼고 바라봤던 감정을 담아 그리는데요. 뾰족한 콧날에 골똘히 생각에 잠겨있는 듯한 모습, 뭔가 교양있어 보이게 말이죠.

고흐가 그림을 그리는 동안 친구 고갱은 그녀에게 “당신의 초상화는 나중에 루브르 미술관에 걸리게 될 거예요”라고 계속 얘기했다고 합니다. 이 말은 결과적으로 맞아 떨어졌습니다. 이 그림은 지금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전시돼 있으니까요.

빈센트 반 고흐 <아를의 지누 부인>, 1888, 캔버스에 유채,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빈센트 반 고흐 <아를의 지누 부인>, 1888, 캔버스에 유채,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폴 고갱 <아를의 밤의 카페>, 1888, 캔버스에 유채, 모스크바 푸쉬킨 미술관.폴 고갱 <아를의 밤의 카페>, 1888, 캔버스에 유채, 모스크바 푸쉬킨 미술관.


그럼 이번엔 같은 장소에서 그린 고갱의 지누 부인을 한번 살펴볼까요.


분명 똑같은 모델인데 분위기가 너무나 판이합니다. 테이블에 놓인 물건부터 다른데요. 고흐가 책을 그린 것과 달리 고갱은 값싼 술병과 술잔을 그렸습니다. 고흐가 대체로 날카로운 선으로 얼굴을 그렸다면 고갱은 둥그스름한 눈썹과 코끝, 턱선에 풀려 보이는 듯한 눈빛으로 그렸네요.

관련기사



턱 괴고 ‘쟤 한번 꼬셔볼까?’ 생각하는 듯한 영락없는 동네 마담의 모습입니다. 뒤에는 이미 여러 잔 거하게 마셔서 뻗어있는 동료 화가까지 표현했네요. 고흐가 그린 지누 부인은 날카롭고 차가운 부잣집 부인 이미지라면 고갱의 지누 부인은 교양과는 다소 거리가 있어 보이는 모습입니다.

왜 똑같은 장소에 똑같은 인물인데 이토록 다른 그림이 됐을까요.

일단 고흐에게 카페는 아주 특별한 장소였습니다. 가장 가까운 지인인 우체부 조셉 룰랭과 군인 밀리에 등이 즐겨 찾는 곳이었죠. 고흐는 룰랭을 ‘현명하며 지혜롭고 착한 친구’라고 생각해 실제 룰랭 가족 전부를 그림으로 그려줄 만큼 가깝게 지내며 신뢰했지만 고갱은 달랐습니다. 고갱에게 카페는 그저 할 일 없고 별 볼 일 없는 사람들이 모여 술이나 흥청망청 마시며 떠드는 곳이라 생각했고 그곳에 오는 고흐의 지인들도 달갑게 보지 않은 거죠. 한마디로 술꾼들로 표현했습니다. 그림의 제목도 분명 지누 부인을 모델로 놓고 그린 그림인데 부인 이름을 쏙 뺀 채 밤의 카페라고 붙인 걸 보면 마음이 좀 꼬여 있던 게 분명하죠?

정말 고갱이 지누 부인을 마음에 두고 있었는데 고흐도 다정하게 대하니 일부러 고흐의 친한 지인들을 부정적으로 그린 것일까요? 셋이 어떠한 감정이었는지는 세 사람만이 알 수 있겠죠. 확실한 것은 그림에서도 알 수 있듯이 고흐와 고갱 둘 사이가 원만하지는 않았다는 겁니다.

같은 인물이지만 지누 부인에 대한 호감을 느낀 고흐는 술집 마담이 아닌 교양있는 여성으로, 라이벌 의식으로 똘똘 뭉친 고갱은 본래 지누 부인의 이미지보다 훨씬 더 천박하게 그렸습니다. 서로 다른 여인인 것처럼 보이는 그림이 실은 한 사람을 바라보고 그린 것이었다니 참 아이러니합니다.

요즘 인간관계에서도 보면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보다는 ‘나에게 어떤 사람인지’가 더 중요한 것 같습니다. 지금 나는 상대를 어떤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고 또 상대에게 나는 어떠한 사람으로 비처지고 있을지. 다가오는 연말, 우리도 주위 사람들에게 따뜻한 시선을 가져보면 어떨까요.

다음 회에 더 흥미로운 이야기로 만나요.

이수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