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금융권 올 임금인상률 2.65%…산별교섭 진통끝에 극적 타결

하영구(오른쪽)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 회장과 허권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위원장이 29일 금융권 산별교섭을 타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은행연합회하영구(오른쪽)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 회장과 허권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위원장이 29일 금융권 산별교섭을 타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은행연합회




금융권 노사가 올해 임금인상률 2.65%에 합의했다. 또 1,000억원 규모의 사회공헌재단을 설립해 일자리 창출에 힘쓰기로 했다.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와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은 29일 3차 중앙산별교섭을 갖고 이같이 합의했다고 밝혔다. 또 불완전판매 근절, 금융소비자 보호, 근무환경 개선 등으로 과당경쟁을 해소하자는 데 뜻을 같이하고 공동 노력하는 합의문도 채택했다. 아울러 금융 노사는 지난 2012년과 2015년에 노사 합의로 조성한 사회공헌기금 약 700억원에 사측이 향후 3년간 300억원을 출연해 총 1,000억원의 재원으로 일자리 창출과 청년실업 해소를 위한 공익재단을 설립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2017년 임금인상률 2.65%는 정부가 제시한 금융공기업 임금인상률인 2.5%보다 크고 2013년(2.8%)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장을 맡고 있는 하영구 은행연합회장이 30일로 임기가 만료되는 점이 감안돼 극적으로 타결한 것으로 해석된다. 만약 이날 불발됐으면 교섭은 김태영 회장 내정자로 인계돼 해를 넘길 가능성도 제기됐다.

금융노조는 1차 교섭에서 경제성장률 및 소비자물가상승률을 감안해 4.7%를 주장했다가 2차 교섭에서는 3.5%를 요구했다. 은행들이 올해 사상 최대 실적을 거둬 큰 폭의 임금 인상이 필요하다는 논리를 앞세웠다. 다만 사측은 호봉승급분(1.3%포인트)까지 합치면 다른 업종보다 임금인상률이 과하고 내년 경영환경이 어렵다는 점을 내세워 설득했다. 개별 기관은 총액임금 2.65%를 기준으로 각 상황에 맞게 별도로 정할 방침이다. 단 직원 간 임금 격차 해소를 위해 저임금 직군의 임금 인상률은 기관별 상황에 따라 기준인상률 이상으로 한다.

이외에도 노사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임금 체계 개선, 산별교섭 효율화, 과당경쟁 방지, 제4차 산업혁명 대비 고용 안정 방안 등 당면한 과제를 심도 있게 논의하기로 합의했다. 단체협약은 내년에 진행된다.

황정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