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케이뱅크·카카오뱅크 자본비율 나란히 1·2등

최근 증자 요인 큰듯

은행 평균 총자본비율 15.4%

올해 출범한 케이뱅크·카카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의 자본비율이 은행권 1·2위를 나란히 차지했다. 보통 은행들이 지키는 ‘바젤Ⅲ’가 아닌 보다 완화된 기준인 ‘바젤Ⅰ’의 적용을 받는 데다가 최근 증자를 진행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30일 금융감독원은 지난 9월 말 현재 19개 국내 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평균 총자본비율은 15.40%, 기본자본비율은 13.29%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들 비율은 인터넷은행을 제외로 하고, 내년부터 도입되는 바젤Ⅲ 기준을 적용한 것이다. 바젤Ⅰ이 적용되면 자기자본비율을 총자본비율로 본다는 게 금감원의 설명이다. 총자본비율은 위험가중자산을 총자본으로 나는 것이고, 자기자본비율은 위험가중자산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것이다.


케이뱅크의 총자본비율이 25.19%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케이뱅크의 총자본비율은 6월 말(17.39%)에서 큰 폭으로 올랐다. 지난 9월 케이뱅크는 영업 확대를 위해 1,000억원을 유상증자했다.

관련기사



카카오뱅크의 총자본비율은 24.04%를 기록했다. 카카오뱅크도 지난달 5,000억원 규모의 증자를 실시했다. 씨티(19.03%), 경남(16.96%), 부산(16.26%), 국민(16.16%), 하나(16.11%), SC(16.09%), 신한(16.05%) 등의 은행이 뒤를 이었다.

은행들의 총자본비율은 지난 6월 말보다 0.01%포인트 상승했다. 기본자본비율도 0.03%포인트 올랐다. 반면 17개 은행의 보통주자본비율은 12.72%로 6월 말보다 0.01%포인트 하락했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