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연구산업 육성…5년내 일자리 1만2,000개 창출"

과기정통부 혁신성장전략 발표

내년부터 2,366억 투입하기로





정부가 첨단연구장비 개발, 시험·분석 서비스, 지식재산권(IP) 관리 등 연구개발(R&D) 산업 육성에 팔을 걷어붙이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연구산업 육성을 위해 내년부터 2022년까지 총 2,366억원을 투입해 신규 일자리 1만2,000개를 창출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연구산업 혁신성장전략’을 5일 발표했다. 과기정통부는 우선 바이오, 나노 등을 중심으로 연구산업 기업이 기술을 발굴해 대학이나 정부출연연구원에 제안하는 형태로 추진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정부 R&D 포털인 ‘과학기술정보서비스’(NTIS)를 확대 개방하고 외부 개발자에게 오픈 API(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제공도 늘리기로 했다.

관련기사



정부 R&D 사업을 통해 연구산업 시장을 창출하고 해외 진출도 지원할 계획이다. 대형·융합연구 사업의 경우 전문 기업에 연구 일부를 아웃소싱하고 중소기업 참여확대와 연구관리 협동조합 설립도 지원한다.

민관 협의체를 구성해 ‘미래 연구산업 창출 시범 프로젝트’를 펴고 ‘연구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가칭)’ 제정에도 나선다. 나노 바이오 광학현미경, 냉매 없는 핵자기공명장치, 비접촉식 미세표면 등 첨단 연구장비 개발을 통한 창업 활성화도 추진한다.

과기정통부는 연구산업 관련 기업을 1,400여개(추정)에서 2022년 2,600개로 늘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진규 과기정통부 1차관은 “영국 ARM사(社)는 반도체 설계만 수행해 2014년 연 매출 1조3,000억원을 달성했고, 스위스 SGS사는 시험·검사만으로 연간 6조9,000억원 이상 매출을 올리고 있다”며 “연구산업은 국가 R&D가 고급 일자리로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산업”이라고 말했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