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영상] "병사는 죽어가고 있었다" 이국종 '그날'을 공개하다

CNN 단독공개

"살아난 게 기적"

북한 병사와 이국종 교수 제공

이국종 아주대병원 교수(중증외상센터장)가 아주대병원에 실려왔을 때 북한 병사의 상태에 대해 설명하고 있었다. 그는 “병사에게서 맥박이 거의 잡히지 않았고 쇼크로 죽어가고 있었다”고 당시 상태를 설명했다. /사진제공=CNN이국종 아주대병원 교수(중증외상센터장)가 아주대병원에 실려왔을 때 북한 병사의 상태에 대해 설명하고 있었다. 그는 “병사에게서 맥박이 거의 잡히지 않았고 쇼크로 죽어가고 있었다”고 당시 상태를 설명했다. /사진제공=CNN






목숨을 건 탈출 과정에서 총상을 입고 사경을 헤매던 북한 병사가 이국종 교수팀의 응급수술을 받는 긴박한 순간의 모습이 공개됐다.


CNN은 4일(현지시간) 귀순한 북한 병사의 동의를 받아 수술을 받는 장면을 공개했다. 의료진이 직접 촬영하거나 병원 CCTV에 담긴 것으로 추정되는 이 영상은 군 당국의 허가를 거쳐 이국종 아주대병원 교수(중증외상센터장)로부터 제공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판문점에서 총상을 입은 뒤 죽은 듯 쓰러져 있던 북한 병사는 한국군과 미군에 의해 아주대 헬리패드(헬기착륙장)에 도착한다.

이 교수는 헬리패드에서 그를 처음 봤다. 이 교수는 위태로웠던 당시 상황에 대해 “깨진 항아리 같았다. (피를 너무 흘려서) 충분히 수혈할 수가 없었다”고 떠올렸다.


피를 너무 많이 흘린 탓에 혈액형도 확인할 길 없이 O형의 피로 수혈을 하고 CT 촬영 없이 엑스레이(X-RAY) 한 장을 들고 수술실로 향했다.

관련기사



다섯 군데의 총상 중 내부 장기를 관통해 오염시킨 한 발의 총알을 제거하는 게 급선무였다.

당시 수술장으로 옮겨졌을 때의 모습. 환자의 출혈이 너무 큰 상황이었기 때문에 이국종 교수는 엑스레이(X-RAY) 한 장만을 정보로 삼아 수술장으로 향해야 했다. /사진제공=CNN당시 수술장으로 옮겨졌을 때의 모습. 환자의 출혈이 너무 큰 상황이었기 때문에 이국종 교수는 엑스레이(X-RAY) 한 장만을 정보로 삼아 수술장으로 향해야 했다. /사진제공=CNN


외상 병동을 거쳐 수술실에서 5시간 이상 수술이 진행됐다. 이때 장기에서는 총알뿐만 아니라 27㎝에 달하는 회충도 나왔다.

수술대에서는 바이털 사인이 너무 불안정해서 죽을 수도 있겠다고 생각했다며 “그가 살아난 건 기적”이라고 이 교수는 긴박했단 상황을 되짚었다.

수술 후 병사의 회복 속도는 의료진도 놀랄 정도로 빨랐고, 이제는 걷고 말하고 화장실도 혼자 갈 수 있을 정도로 회복했다고 그는 전했다.

한편, CNN은 한국인들이 이 교수가 귀순병사의 생명을 구한 이야기에 사로잡혔고, 병사의 생존을 기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일주일에 한 번 집에 가고 병원에서 잠을 자는 이 교수의 고단한 삶도 언급했다. 그러자 이 교수는 “사람들은 제가 나라를 자랑스럽다고 여긴다는 것이 이 병사를 살리려는 이유라고 하는 경향이 있는데, 완전히 틀렸다”며 “여기서 보듯 우리는 매일 우리 일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