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간호대생 절반 "실습 중 성희롱"…가해자 77%가 40~50대

50.8% "성희롱 경험"…가해자 대부분이 환자

적극적 대처 못해…병원·학교 차원 대책 필요

위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 관련이 없습니다. /연합뉴스위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 관련이 없습니다. /연합뉴스


나이팅게일을 꿈꾸는 예비 간호사 절반 이상이 병원에서 환자를 돌보는 임상실습 중에 성희롱을 경험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성희롱 가해자 대부분은 환자와 환자의 보호자였다. 하지만 이런 성희롱 피해에도 불구하고 피해 간호대생들은 아무런 대처도 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7일 여성건강간호학회가 발행하는 학술지 최근호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지난해 5∼6월 사이 간호학과 4학년 재학생 191명(여 173명, 남 1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절반이 넘는 50.8%(97명)가 임상 실습 중에 성희롱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국내 간호학 교과과정은 재학생들이 병원과 지역사회 기관 등에서 1,000시간 이상의 현장실습을 이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간호대생들이 경험한 성희롱은 신체적인 것이 147건으로 가장 많았다. 세부적으로는 길을 막거나 이동하는 행위(45.3%), 의도적으로 몸을 스치고 지나가는 행위(44.3%), 원치 않는 접촉이나 포옹으로 신체를 밀착시키는 행위(30.9%) 등이 주로 지목됐다. 다음으로는 언어적 성희롱과 시각적 성희롱이 각각 72건, 55건으로 파악됐다. 언어적 성희롱은 성적인 농담 또는 외설적인 대화나 통화(26.8%)가, 시각적 성희롱은 상대방의 특정 신체 부위를 쳐다보거나 훑어보는 행위(40.2%)가 가장 많았다.


성희롱 가해자는 환자가 93.8%(91명)로 대부분이었으며, 이어 환자의 보호자가 6.2%(6명)였다. 가해자의 연령대는 40∼50대 중년층이 77.4%를 차지했다. 성희롱이 있었던 장소는 일반병동이 54.6%, 정신과병동이 51.5%로 각각 분석됐다.

관련기사



하지만 이런 성희롱 피해에도 불구하고 피해 간호대생 중 84.5%(82명)는 아무런 조치도 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가해자에게 직접 항의하거나 지도 교수에게 보고한 경우는 각각 15.5%, 8.2%에 그쳤다. 성희롱 피해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않은 이유로는 ‘어떻게 하는지 몰라서’(59.2%), ‘도움을 받을 수 없을 것 같아서’(46.1%), ‘용기가 없어서’(39.3%), ‘가해자로부터 보복이 두려워서’(33.0%) 등의 응답이 많았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간호학생들이 성희롱 피해에 대해 적극 대처하지 못하는 것은 임상실습 환경에서 상대적 약자의 위치에 있기 때문”이라며 “학습 현장에서 보호받아야 할 학생들이 성희롱에 취약한 상태라는 사실을 병원뿐 아니라 해당 학교도 인식하고, 방지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손샛별인턴기자 setja@sedaily.com

손샛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