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주 4일 근무제' 채택 확산

경북도, 화장품기업 22곳과 협약

근로시간 양극화 더 심화 가능성

주 4일 근무제가 공공기관과 민간기업 가릴 것 없이 확산되고 있다. 생산성 향상과 추가 고용 여력 확보를 원하는 기관과 업체의 니즈와 일·가정 양립 등을 추구하는 구직자의 일자리 수요 등이 맞아떨어진 결과로 풀이된다. 이 같은 추세에 근로시간 양극화 현상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경상북도는 14일 도내 화장품 기업 협의체 회원사 50곳 가운데 22곳과 고용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날 고용협약을 맺은 기업들은 내년 2월까지 청년과 여성 50명을 주 4일 근무 직원으로 채용할 예정이다. 이들의 연봉은 주 5일 일하는 사람보다 20%가량 적은 수준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주 5일 근무제를 채택하면 30명가량을 새로 뽑을 수 있지만 주 4일 근무제를 적용하면 20명을 추가로 고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화장품 기업들은 내년 하반기에도 주 4일 근무 직원 60명을 뽑을 방침이다.


주 4일 근무제는 일주일에 나흘 출근해 하루 8시간, 총 32시간 일하는 방식을 기본으로 한다. 지난 2015년 기준 일본은 전체 기업의 8%가량이 주 4일 근무제를 채택하고 있지만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보편적이지 않다. 한국에는 수년 전부터 정보기술(IT)·여행 등 일부 업종을 중심으로 퍼지고 있는 모습이다.

관련기사



상당수 근로자들이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는 상황에서 이 같은 추세가 확산되면 근로시간 양극화는 더 심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국 근로자의 지난해 기준 연평균 근로시간은 2,069시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멕시코(2,255시간)에 이어 두 번째로 길다.

이런 가운데 경북도 출연·출자기관 중 하나인 경북테크노파크는 7월 공공기관으로는 처음으로 주 4일 근무제 정규직 근로자를 고용했다. 현재 한국국학진흥원·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경북문화콘텐츠진흥원 등도 주 4일 근무제 직원 채용을 준비하고 있다.

경북도 관계자는 “전국에 주 4일 근무제를 시행하는 민간기업이 일부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같은 업종의 협의체가 지방자치단체와 협약을 체결하고 주 4일 근무제에 동참하기로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안동=손성락기자 ssr@sedaily.com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