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내년 1월·7월에 ‘개기월식’…12월엔 1시간에 120개 유성우 쏟아져

천문硏 2018년도 주요 천문현상 발표

내년 1월 31일 개기월식 설명도./한국천문연구원 제공내년 1월 31일 개기월식 설명도./한국천문연구원 제공


내년에는 달이 지구 그림자 속으로 모습을 감추는 개기월식을 두 번 관측할 수 있다. 혜성이 태양을 통과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15일 한국천문연구원은 내년도 주요 천문현상을 발표했다. 내년 개기월식은 1월과 7월 두 차례에 걸쳐 일어난다.


1월 31일은 식의 시작부터 전체 과정을 살필 수 있다. 오후 8시 48분 1초 달의 일부분이 지구에 가려지는 부분월식이 시작된다.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들어가는 개기월식은 오후 9시 51분 4초에 시작돼 10시 29분 9초에 최대로 들어간다. 개기월식은 오후 11시 8분 3초까지 지속한다. 부분월식은 자정 넘어 2월 1일 0시 11분 6초까지 진행해 1시 10분 끝난다.

관련기사



7월 28일은 오전 3시 24분 2초에 부분월식이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개기월식은 4시 30분에 시작해 5시 21분 7초에 최대가 된다. 월몰 시각인 5시 37분까지 관측할 수 있다. 개기월식이 일어날 땐 검붉은 달을 볼 수 있다. 12월 13일엔 비르타넨 혜성이 태양과 가장 가까워지는 지점(근일점)을 통과해 맨눈으로도 혜성을 볼 수 있다. 비르타넨 혜성은 1948년 미국 천문학자 칼 비르타넨이 발견한 5.4년 단주기 혜성이다.

유성우도 볼 수 있다. 내년 쌍둥이자리 유성우 극대기는 12월 14일이다. 오후 11시 30분 이후엔 달도 지고 없어 유성을 볼 수 있는 좋은 조건이다. 천문연은 “이상적인 조건이라면 1시간에 120개 정도의 유성을 관측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기대를 나타냈다.

/홍태화인턴기자 taehwa@sedaily.com

홍태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