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靑, 2022년까지 공공기관 연차 100% 사용 추진

■문대통령, 수보회의 주재

초과근무 저축휴가제 도입 등 내년 1월 구체안 발표

청년고용점검회의 내달 열기로

정부가 정부기관의 연차휴가 사용 목표를 매년 상향해 2022년 100% 사용하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공직사회가 과로 사회 탈피, 일·가정 양립 분위기 조성에 앞장서기 위한 것이다.

18일 문재인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이 같은 방안을 논의했다고 박수현 대변인이 이날 밝혔다. 현재 청와대는 연가의 최소 70% 이상을 사용하도록 독려하고 있다. 박 대변인은 “‘정부기관 근무혁신 추진방안’에 대한 보고가 있었으며 업무와 복무제도 혁신을 병행 추진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세부적으로 불필요한 일 버리기 및 업무집중도 향상, 대국회 업무 방식 개선, 인력의 탄력적 운영·재배치 등 업무혁신을 추진한다. 또 초과근무 운영 방식을 개인용무시간을 제외하는 등 개선하고 초과근무 저축휴가제 도입, 장기휴가 활성화 등 유연하고 탄력적인 복무제도를 확립하기로 했다. 청와대는 초과근무도 획기적으로 감축할 수 있도록 기관별·연차별 목표를 세워 추진하기로 했다. 청와대는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1월 중 구체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문 대통령이 직접 주재하는 ‘청년고용점검회의’가 내년 1월 중 개최될 것으로 보인다. 이날 문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청년 고용 문제의 심각성을 감안해 내년 1월 중 청년 고용 상황과 대책을 점검하는 청년고용점검회의를 준비해주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대통령이 직접 주문한 것이니 회의도 주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이날 문 대통령은 재외공관장 만찬 간담회도 열고 “실사구시의 실용외교를 해야 한다”며 “주변 4강과 협력을 강화하면서도 다변화하는 균형외교를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 “새 정부 외교를 관통하는 최고의 가치는 ‘국익’과 ‘국민’”이라고 강조하며 “해외에 진출한 우리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발로 뛰는 외교부가 돼달라”고 지시했다. 아울러 “한국이 강대국에 둘러싸여 있지만 이런 지정학적 조건이 우리 하기에 따라 대륙과 바다를 잇는 ‘교량 국가’라는 축복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