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등에서는 여러 가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한국이 건설 중인 UAE 원전 사업과 관련한 양국 간 오해나 갈등이 있어 이를 풀기 위해 임 실장이 급파된 것이 아니냐는 게 골자다. 구체적으로는 두 가지 버전으로 제기된다. 첫째는 국교단절 위기설, 둘째는 한국의 탈원전에 대한 UAE의 항의설이다.
세간에 떠돌던 국교단절 위기설을 공론화한 것은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였다. 그는 지난 14일 “이명박(MB) 정부의 UAE 원전 수주와 관련해 터무니없는 얘기를 퍼뜨리는 문재인 정부를 그 나라 왕세자가 국교단절까지 거론하며 격렬히 비난하자 이를 수습, 무마하기 위해 임 실장이 달려갔다는 소문까지 나온다”고 전했다. 이튿날에는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원자력발전소 수주와 UAE 왕실 사이에 어떤 비리가 있다고 흘려서 상대 정부가 격렬히 항의하고 있다는 것은 외교가에 이미 알려진 사실”이라며 논란을 부채질했다.
탈원전 항의설 역시 업계의 풍문으로 떠돌던 것이 언론을 통해 공론화됐다. 문재인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추진하자 이명박·박근혜 정부 시절 한국에 총 74조원대의 원전 건설 사업을 발주했던 UAE 측이 자국 원전 운영 등을 우려하며 항의했다는 것이다. 여기에 더해 임 실장이 현지로 가서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 나하얀 UAE 왕세제에게 현지 원전 사업에 문제가 없다고 해명했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청와대는 18일 출입기자단에 보낸 문자메시지를 통해 “원전 사업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고 밝혔다. 또 임 실장과 알 나하얀 왕세제 만남 때 칼둔 칼리파 알 무바라크 원자력이사회 의장이 자리를 함께한 것은 아부다비 행정청장 자격으로 배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논란도 있었다. 대북 접촉을 위해 임 실장이 현지에 갔다는 설이었으나 청와대는 일축했다. 그럼에도 김 원내대표는 이 같은 논란 등과 관련해 국회 운영위원회 소집 및 임 실장의 출석을 요구하는 등 정치 쟁점화하려는 분위기다. 임 실장은 18일 오후 문재인 대통령이 주재하는 수석보좌관회의에 참석한 후 오는 21일까지 휴가를 내 운영위 출석 여부는 미지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