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용인시, 어린이 통학버스 갇히는 사고 예방 시스템 도입

관내 어린이집 통학차량 200대에 시범 설치

용인시는 19일 시청 시민사랑방에서 아바드(주) 등과 ‘어린이통학차량 사고예방 공공디바이스사업’업무협약을 맺었다.왼쪽부터 정찬민 용인시장, 류병철 아바드(주) 대표, 강명희 용인시어린이집연합회장, 나양원 (재)행복한에코폰용인시는 19일 시청 시민사랑방에서 아바드(주) 등과 ‘어린이통학차량 사고예방 공공디바이스사업’업무협약을 맺었다.왼쪽부터 정찬민 용인시장, 류병철 아바드(주) 대표, 강명희 용인시어린이집연합회장, 나양원 (재)행복한에코폰




용인시는 어린이들이 통학버스에 갇히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시스템을 어린이집 통학차량 200대에 시범 설치한다.

용인시는 19일 시청 시민사랑방에서 시스템을 개발한 아바드(주)와 재단법인 행복한에코폰, 용인시어린이집연합회 등과 ‘어린이통학차량 사고예방 공공디바이스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정찬민 용인시장, 류병철 아바드(주) 대표, 나양원 (재)행복한에코폰 이사, 강명희 용인시 어린이집연합회장이 참석했다.

관련기사



‘스마트 잠자는 어린이 확인시스템’은 통학버스 운행 종료 후 운전기사와 동승 보육교사가 내부 뒷좌석에 설치된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NFC)에 단말기를 태그해 하차확인을 하도록 한 것이다. 하차확인이 되지 않으면 운전기사와 어린이집 관계자의 단말기로 경고음이 울리게 돼 있다.

또 운전자가 과속하는 경우 경고음이 울린다. 학부모들은 스마트폰 앱을 통해 자녀의 승·하차 여부, 통학차량의 실시간 위치를 확인하고 차량도착 알림서비스 등을 받을 수 있다.

협약에 따라 개발업체인 아바드는 이달 중 시스템을 1년간 어린이집 차량 200대에 시범 도입한 뒤 사용자들의 의견을 수렴해 사용 편의를 개선할 예정이다.

시는 실증에 필요한 운영비 1억원을 지원하고 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행정 지원할 계획이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