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은 그동안의 금융위기와 해운경기 불황에도 불구하고 올해 컨테이너 2,000만TEU를 초과 달성하며 세계 6위 컨테이너 처리 항만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러나 항만에서 발생하는 수입은 해운선사 및 부두운영사에 편중되고 항만연관 산업계로 직접 연결되지 못했다. 또 정부·지자체와 부산항만공사의 정책 우선순위도 선사, 운영사 등 항만생태계의 최상위계층에만 집중됐으며, 부산항의 부가가치 중 항만연관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의 22.1%로 싱가포르 및 로테르담 등 경쟁 항만 대비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이렇다보니 항만공사에서는 항만산업의 양적 성장뿐만 아니라 질적 성장을 도모하고, 그동안 사각지대에 있던 항만연관산업 육성 발전을 위해 고민해왔다. 올해 국내 항만 및 항만공사 처음으로 부산항 해운항만산업 실태 전수조사를 벌여 산업의 현황 및 실태 파악과 통계조사를 실시했다. 이와 함께 지난 7월부터는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및 부산시와 산·학·연 전문가가 참여한 워킹그룹을 구성해 관련 업종별 현황과 애로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제도개선, 정책지원 등 장·단기 개선과제를 도출한 후 의견수렴을 거쳐 최종 추진방안을 마련했다.
2017 부산항 해운항만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부산항을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업체는 총 4,550개로서 6만 3,280명이 근무하고 있으며, 이들 업계가 부산항에서 발생하는 매출액은 총 13조 3,872억원으로 화물운송업(해운선사)이 차지하는 비중이 24.5%로 가장 큰 것으로 파악됐다. 항만연관산업 육성방안 워킹그룹 연구결과에 의하면 관련 업종 대부분이 영세하고 난립해 무한 경쟁체제로 수익률이 10∼20년 이전 수준에 머물러있고 근로자들도 최저임금 수준에 있으며, 업계 스스로의 협상력 및 자생력도 취약해 정부 및 지자체와 부산항만공사의 정책적인 지원이 절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에 발표한 육성방안은 2018년 내에 해결할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영향 분석 △부산시 선용품 자체 브랜드 개발 △효율적인 예·도선 지원 등 총 5개의 단기과제와 △항만연관산업 요율 및 임대료 기준 마련 △항만운송 사업법 상 갱신제 전환 △R&D 정보화 및 인력양성 제도 마련 △협회 및 업계의 자생 노력 등 10개의 중·장기 과제를 도출했다. 과제별로 정부·지자체·부산항만공사 및 업·단체가 각자의 역할을 분담해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항만공사는 2020년까지 항만연관산업 협의체를 운영하며, 매년 해운항만산업 실태조사를 벌이기로 했다. 육성방안의 추진과제에 대해서는 6개월마다 진척 사항을 점검하고, 보완 발전시키는 등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할 예정이다. 우예종 부산항만공사 사장은 “올해 부산항이 컨테이너 물동량 2,000만TEU를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항만연관산업의 어려움은 날로 심화하고 있다”며 “이번 기회를 통해 부산항이 고부가가치 선진항만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