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올 패션 ‘고군분투’… 내년은 상품 이탈 시대



올해 패션계는 불황 탓에 ‘고군분투’ 했으나 내년에는 상품 그 자체보다 경험과 참여를 중시하는 ‘상품 이탈 시대’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삼성패션연구소는 21일 ‘2017년 패션 산업 10대 이슈’와 ‘2018년 패션 산업 전망’을 발표했다.

관련기사



우선 올해 10대 이슈로는 △고군분투 △홈 플랫폼 시대 △이중적인 소비 규범(탕진잼·스튜핏) △고객 경험 시대 △의식 있는 소비자 등이 꼽혔다. 특히 10대 이슈 첫 번째로 탄핵 정국과 중국의 사드 보복 등 대·내외 불안정성 요소가 패션시장에도 부정적 영향을 줬다는 의미에서 ‘고군분투(Struggle)’를 꼽았다. 패션 관련 소비 역시 2013년을 정점으로 3년 연속 내리막길을 걷는 가운데 백화점의 패션 매출 비중도 2012년 78.6%에서 올해 3·4분기 70%대까지 하락했다.

연구소는 내년도 패션 업계 키워드로 모든 것의 경계가 무너지고 상호 긴밀하게 연결된다는 뜻의 ‘하이퍼 콘넥티드 소사이어티(Hyper Connected Society)’를 제시했다. 서비스 및 감성 경험으로 소비의 무게 중심이 이동하면서 패션업계 또한 소비자와 상호연결성을 강화하고 상품 그 이상의 차별화된 가치를 제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지은 삼성패션연구소 그룹장은 “기업들은 가변성을 새로운 표준으로 받아들이고 소비자 경험, 편의성, 가성비, 참신함과 개인화된 서비스까지 다각도로 점검하며 기민하게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심희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