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시한폭탄' 같은 외벽 마감재...개방된 필로티가 화마 키워

건물 구조적 문제점은

2016년 전에 지어진 건물은

30층 이상만 마감소재 규제

부실한 건축물 규제로 충북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의 잠재성은 도처에 있다는 분석이다. 불에 취약한 마감재와 필로티 구조가 피해를 키우고 있다.

22일 소방 당국에 따르면 이번에 화재가 난 건물의 외벽은 ‘드라이비트’라는 소재를 사용했다. ‘빨리 마른다’는 뜻의 드라이비트는 건물 외벽에 스티로폼과 같은 가연성 소재를 붙이고 그 위에 시멘트나 석고를 덧바르는 마감재다. 단열효과가 뛰어나고 다른 마감재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지만 작은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고 특히 화재에 취약해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지난 2015년 1월 5명의 사망자와 125명의 부상자를 낸 의정부 아파트 화재도 드라이비트가 대형 사고의 원인으로 지목됐다. 이후 건축법이 개정돼 6층·22m 이상의 건축물 외단열재는 불에 일부만 타는 준불연재나 불에 타지 않는 불연재를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개정법의 시행은 2016년 4월로, 그 전에 지어진 건물은 30층 이상만 적용 대상이다. 이번에 대형 참사로 이어진 제천의 9층짜리 스포츠센터 건물도 2011년에 준공된 것이어서 외단열재에 대한 규제를 적용받지 않았다.


한 건축업자는 “드라이비트는 1㎡당 가격이 2만~3만원이어서 다른 마감재에 비해 4분의1가량 저렴하고 시공기간도 짧아 건물주들이 선호한다”면서 “하지만 불에 취약해 화재가 나면 유독가스가 나오면서 다른 곳으로 불을 빨리 옮겨붙게 해 시한폭탄과도 같은 소재”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와 함께 필로티 구조도 이번 화재가 대형 참사로 이어지게 한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필로티는 건물 1층에 벽 없이 기둥만 세운 공간을 말한다. 필로티 구조 건물은 1층이 공기에 쉽게 개방돼 있어 화재가 발생하면 연소가 빠르게 진행된다. 이번 제천 스포츠센터와 2015년 화재가 난 의정부 아파트는 필로티 구조로 돼 있다.

필로티 구조 건물은 1층을 주차장이나 쓰레기장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향후 비상통로 확보를 의무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