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성능 고의저하' 아이폰...美서 집단소송 위기

"비도덕적 행위...소비자법 위반"

이용자들 LA·시카고 법원에 고소

아이폰X아이폰X


애플이 스마트폰 배터리 문제와 관련해 소송에 직면했다. 애플은 지난 20일(현지시간) “아이폰 배터리 문제로 전원이 꺼지는 경우를 막기 위해 속도를 낮추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실시했다”고 실토했다. 애플의 이 같은 조치는 이용자 동의 없이 이뤄졌기 때문에 애플 마니아들의 강한 반발을 사고 있어 앞으로 집단소송으로까지 이어질지 관심이다.


21일 미국 시카고 선타임스에 따르면 일리노이주의 아이폰 이용자들은 “애플의 iOS 업데이트가 아이폰 속도를 의도적으로 느리게 만들었으며 이는 비도덕적이고 비윤리적인 행태로 소비자 보호법 위반 사항”이라며 시카고 법원에 고소장을 제출했다. 앞서 미국의 연예매체인 TMX에 따르면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거주하는 아이폰 이용자 스테판 보그대노비치씨는 “구형 아이폰 모델의 속도 저하 조치는 사용자 불편을 야기한다”며 애플을 고소하기도 했다. 그는 “구형 아이폰의 속도를 제한한 애플의 결정에 결코 동의할 수 없다”며 “이는 새로운 아이폰을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애플의 조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애플의 조치에 수많은 아이폰 이용자가 문제제기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 집단소송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관련기사



애플이 구형 아이폰 성능을 의도적으로 제한했다는 의혹은 9일 소셜 뉴스웹사이트인 레딧에서 처음 제기됐다. 이후 애플은 공식 성명을 통해 “아이폰이 갑자기 꺼지는 현상을 막기 위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어 “아이폰6, 아이폰6s, 아이폰SE를 비롯해 iOS 11.2가 적용된 아이폰7에도 속도 저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실시됐다”며 “향후 다른 제품에도 추가적으로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이폰에 탑재된 리튬 이온 배터리는 노후되거나 잔량이 적은 상황에서는 전력공급에 차질이 발생해 배터리가 갑자기 꺼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애플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스마트폰의 두뇌에 해당하는 AP 성능을 떨어트리는 방식으로 배터리 문제에 대응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IT전문매체인 테크크런치는 “애플이 배터리 수명 저하로 인한 문제를 고민하고 있었다면 이를 이용 중인 사용자들과의 소통이 필요했다”며 “애플의 소통 전략이 실패한 사례”라고 밝혔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