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고통안전공단 세계최초 5G자율주행 실험도시 구축

교통안전공단이 SK텔레콤과 공동으로 경기도 화성에 있는 자율주행 실험도시 ‘K-City(케이-시티)’ 주요 실험 구간에 5G 인프라를 구축했다고 28일 밝혔다. 자율주행 실험도시에 5G 인프라가 구축된 건 세계 최초다.

교통안전공단은 K-City에 ▲1GB영화 한편을 0.4초 만에 전송하는 ‘20Gbps급 5G시험망’ ▲실험차량과 0.001초 안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5G 통신 관제센터’ ▲정밀도 20cm 이하의 ‘3D HD맵’ 등 5G 인프라를 착공 3개월 만에 구축했다.


K-City 5G 인프라는 무선, 교환기 등 모든 구간에 빔포밍, 빔트래킹, 네트워크 가상화 등 최신 5G 기술이 적용된 시스템이다.

이에 따라 융합 기술을 검증할 수 있는 ‘5G 자율주행 전초기지’가 국내에 마련됐다. 해외에는 아직 이를 이용한 기술을 검증할 수 있는 실험도시가 없는 반면 한국 기업들은 K-City에서 관련 기술을 수시로 검증하며 개발 속도를 올릴 수 있다.


교통안전공단과 SK텔레콤은 국내 기업과 기관에 5G 인프라를 개방하고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다. 치열한 글로벌 자율주행 기술 경쟁 속 ‘5G+자율주행’이라는 강점을 바탕으로 한국이 경쟁을 주도할 기회가 열렸다.

관련기사



5G는 차량-차량 간 통신, 차량-IoT/관제센터 간 통신 등 V2X(Vehicle to Everything) 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 인프라다. 자율주행차는 5G 인프라를 통해 사각지대의 차량 주행 정보 등 종합적으로 주변 환경 데이터를 주고받아 사고 위험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갑자기 도로로 뛰어드는 아이가 있다면 가로등에 장착된 카메라/센서가 위험 상황을 관제센터 및 주변 자율주행차에 5G를 통해 0.1초 내에 전달한다. 5G 인프라는 교차로 신호, 전방 공사/사고 상황도 전달한다. K-City는 이 밖의 다양한 시나리오로 5G 자율주행 최신 기술을 실험할 수 있는 인프라를 갖췄다.

권병윤 이사장은 “K-City는 5G 인프라, 첨단 실험 시설, 다양한 주행트랙 등 다른 국가의 자율주행 실험도시보다 앞선 환경을 갖췄다“며, “국내 다양한 기업, 기관들이 글로벌 자율주행 기술 경쟁을 주도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K-City는 국토교통부 산하 교통안전공단이 경기도 화성시에 조성하는 총 면적 약 36만㎡(약 11만평) 규모의 자율주행 실험도시이다. 이 곳은 △도심부 △자동차전용부 △교외부 등 실제 도로 환경을 그대로 반영한 다양한 실험공간으로 구성돼 있다.

/김천=이현종기자 ldhjj13@sedaily.com

이현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