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롯데 순환출자 해소 완전해소...지주사 체제 전환 가속

롯데지알에스 등 6개 비상장사 분할 후 합병

75만개 달하던 순환출자고리 '해소 공표' 2년만에 다 끊어

호텔롯데 연내 상장 기대감



한때 75만 개에 달했던 롯데그룹의 순환출자구조가 3년여 만에 완전히 해소됐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실형 위기를 벗어나면서 롯데그룹의 지주회사 체제 안정화 작업도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2일 롯데그룹에 따르면 롯데지주(004990)·롯데지알에스·한국후지필름·롯데로지스틱스·롯데상사·대홍기획 및 롯데아이티테크는 2일 각각 이사회를 열고 롯데상사 등 6개 비상장사 투자사업부문을 롯데지주에 통합하기로 하는 합병 및 분할합병을 결의했다.


롯데아이티테크를 제외한 5개 비상장사는 인적분할 방식으로 투자회사와 사업회사를 분할한 후 투자회사를 롯데지주와 합병한다. 롯데아이티테크의 경우 작년 11월 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해 롯데정보통신을 설립했기 때문에 투자부문만으로 구성돼 있어 별도 분할 없이 롯데지주에 흡수합병된다. 롯데그룹은 2014년 6월 이전까지 순환출자구조가 74만8,963개에 달했지만 이후 지속적으로 줄여왔다. 신 회장이 ‘지배구조 투명화’를 목표로 2015년 순환출자 해소를 처음 발표한 이후 그해 67개까지 줄였으며 지난해 10월 롯데지주가 출범하면서 13개까지 고리가 감소했다. 여기에 지난해 말 ‘롯데지주-롯데칠성’, ‘롯데지주-롯데푸드’ 사이의 상호출자를 해소해 11개 구조만 남겨뒀고 이번 흡수합병을 통해 순환·상호출자구조를 모두 해소하게 됐다. 롯데그룹 관계자는 “지주회사 체제 안정화, 자회사 지배력 확대 및 지배구조 투명성을 높일 수 있게 됐다”며 “투자기능을 롯데지주로 통합함으로써 투자역량 강화 및 관리 효율화도 도모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순환출자구조가 모두 해소된 만큼 롯데그룹의 지주사 체제 안정화를 위한 추가적인 구조개편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우선 호텔롯데 기업공개(IPO)는 속도를 낼 전망이다. 지난해 호텔롯데를 상장할 예정이었지만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충격으로 호텔롯데의 실적이 악화되면서 연기됐다. 아직 완전히 정상화되지 않았지만, 바닥은 친 것으로 보이는 만큼 연내 상장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이어 롯데손해보험, 롯데카드 등 금융계열사도 정리해야 한다. 롯데그룹은 우선 지난달 28일 롯데리아, 대홍기획, 롯데상사, 한국후지필름은 보유 중이던 롯데캐피탈과 롯데손해보험 주식을 호텔롯데 및 부산롯데호텔에 지난 28일 블록딜(시간 외 대량매매)로 매각했다. 이번 분할 합병 결의로 롯데지주가 금융회사 주식을 보유하게 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조처다. 하지만 금융계열사는 지주사 출범 이후 2년 안에 정리해야 하므로 아직은 시간이 남아 급한 불은 아니라는 지적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롯데그룹으로서는 신 회장이 실형을 면하면서 지주사 체제를 안정시켜 지배력을 강화하는 것이 가장 급한 일”이라며 “호텔롯데 상장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