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車판매 줄어도 임금인상 고집하는 현대차 노조

현대·기아자동차가 2일 올해 판매목표를 755만대로 확정했다. 이는 지난해(825만대)보다 70만대나 줄어들면서 2013년 수준으로 후퇴한 것이다. 판매목표가 800만대 밑으로 떨어진 것도 2014년 이후 처음이다. 특히 현대차의 목표치가 40만5,000대나 감소했다. 한국 자동차 업계의 맏형격인 현대차가 크게 뒷걸음친다니 여파가 걱정스럽다.

현대차가 목표를 대폭 낮춰잡은 것은 주력시장인 중국·미국의 영업환경이 나아질 조짐을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중국 시장은 상황이 심각하다. 외국 업체에다 현지 자동차와도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와중에 사드 보복까지 겹치면서 지난해 판매량이 급감했다. 중국에서만도 목표치에 50만대 정도 미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몇 개월은 좀 나아지고 있다지만 예년에 비해서는 여전히 부진하다.


정몽구 회장이 신년사에서 “저성장 기조 장기화 속에 보호무역주의가 확산되고 경쟁심화로 자동차 산업도 급변하고 있다”고 진단했을 정도다. 이곳저곳에서 현대차가 전례 없는 위기에 처했다는 우려가 괜히 나오는 게 아니다. 회사 측은 미래차에 대한 투자 확대, 책임경영체제 확립 등으로 돌파해보겠다지만 잘 헤쳐나갈 수 있을지 장담하기 힘들다.

관련기사



이렇게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는데도 현대차 노조는 임금을 더 많이 달라며 떼를 쓰고 있다. 어렵사리 사측과 합의한 2017년 임단협 잠정합의안은 조합원 투표에서 부결돼 사상 처음으로 해를 넘긴 상태다. 잠정합의안 도출까지 19차례나 파업한 것도 모자라 노조는 3일부터 모든 특근을 거부하는 등 실력행사를 계속할 태세다.

양보를 통해 갈등을 빨리 매듭짓고 회사 미래를 위해 노사가 머리를 맞대도 모자랄 판인데도 그렇다. 노조가 제 몫 챙기는 데만 급급했던 업체는 사라지거나 큰 곤경에 처한 세계 자동차 역사의 교훈을 노조는 되새겨봐야 할 것이다. 회사가 휘청거리면 노조도, 일자리도 위태로워진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