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北, 이틀째 회담제의 연락 시도했지만 '무응답'

2016년 2월 후 판문점 직통전화 끊겨

北 매체 통해 입장 밝힐 가능성도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지난 1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청사에서 신년사를 발표했다./연합뉴스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지난 1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청사에서 신년사를 발표했다./연합뉴스


북한은 3일 오전 우리 정부가 남북 고위급 당국회담을 제안한 뒤 시도한 두 번째 판문점 연락관 접촉에도 응하지 않고 있다.


통일부 관계자는 “이날 오전 9시에 판문점 연락관이 북측에 통화를 시도했지만 응답이 없었다”고 밝혔다. 통일부는 전날 조명균 장관이 북측에 고위급 당국회담을 제의한 뒤인 오후 4시 판문점 연락 채널로 통화를 시도했지만 북측과 연결되지 않았다. 조 장관은 회담을 제의하며 “의제와 대표단 구성 등 세부절차를 판문점 채널을 통해서 협의하자”고 전한 바 있다.

관련기사



판문점 연락관 채널은 2016년 2월 개성공단 운영이 중단되면서 끊긴 상태였으며 통일부는 그동안 매일 오전 9시와 오후 4시 통화를 시도해왔다. 판문점 직통전화가 오랫동안 끊겼기 때문에 북한이 우리측 회담 제의에 대해 북한 매체의 발표를 통해 입장을 밝힐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김연주인턴기자 yeonju1853@sedaily.com

김연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