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기업도 ‘부익부 빈익빈’

국세청, 국세통계연보 발표

상위 10% 평균 소득 44억원

하위 10%는 13억원 적자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기업에도 적용되는 현실을 보여주는 통계가 나왔다. 지난 2016년 상위 10% 기업의 평균 소득금액은 44억원, 하위 10% 기업은 13억원 적자를 기록하며 격차가 전년에 비해 더 벌어졌다. 가계와 기업에서 공통적으로 관찰되는 양극화 현상 심화가 사회계층 간 갈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진단도 나온다.


7일 국세청 국세통계연보에 따르면 2016년 법인세를 신고한 64만5,061개 법인의 평균 세무상 소득금액은 3억3,440만원으로 집계됐다.

관련기사



상위 10%인 6만4,506개 법인의 전체 소득금액은 281조9,090억원이었다. 법인당 평균 소득금액은 44억원으로 전체 평균의 14배에 달했다. 이는 전년 평균 소득금액보다 1.9% 늘어난 수준이다. 상위 10%의 법인당 평균 소득금액은 다음으로 소득이 큰 상위 10∼20%의 법인당 평균 소득금액(1억9,570만원)의 22배가 넘는 것으로 나타나 큰 격차를 보였다.

반면 하위 10% 법인의 평균 소득금액은 13억원 적자로 그 폭이 전년과 비교해 7%나 확대됐다. 나머지 기업들의 소득금액은 전년과 비교해 1% 내외의 증감이 있었을 뿐 큰 변화는 없었다.

최상위와 최하위 법인 소득만 정반대의 방향으로 큰 폭 변화를 보이면서 격차가 더욱 커진 셈이다. 2016년 일반법인(금융·보험·증권업 제외)의 회계상 당기순이익은 116조621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바 있다. 저유가와 저금리로 생산원가가 내려가면서 실적이 전년보다 20%나 증가했다. 하지만 성장의 과실이 상위 기업에만 집중된 것으로 나타나면서 그 의미도 빛이 바랬다. /세종=강광우기자 pressk@sedaily.com

강광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