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예의 수준 높이려면 교육 강화해야"

62%가 "예의규범 교육 필요"

23%는 "엄격한 법집행" 꼽아

0915A04 예의




0915A04 불쾌


우리나라 성인들은 타인을 배려하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하려면 예의에 대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사는 사회의 규범이 몸에 자연스럽게 배여 행동으로 이어지려면 가정·학교·사회 등 평생에 걸쳐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사회가 빠르게 변화하면서 사회규범도 바뀌고 있을 뿐만 아니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 새로운 형태의 교류 공간도 생기고 있는 만큼 지속적인 ‘예의 교육 업데이트’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타인을 배려하는 예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전국 성인남녀 736명 가운데 62%는 ‘예의규범 교육 강화’를 꼽았다. ‘엄격한 법집행(23%)’ ‘새로운 규범 신설(9%)’ ‘경제성장(6%)’ 등이 뒤를 이었지만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압도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문제의 원인 진단과 맥을 같이한다. 이번 설문에서 국민들은 우리나라 예의 수준이 낮은 이유로 ‘경쟁사회 속 개인주의 강화(36%)’를 가장 많이 꼽았지만 ‘타인을 배려하는 교육 시스템 부족(28%)’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자신의 행동을 뒤돌아보면 타인을 배려하는 예의교육이 제대로 돼 있지 않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실제 본인이 타인을 불쾌하게 했던 행동을 한 이유를 묻는 질문에 ‘불쾌해 할 줄 몰라서(39%)’와 ‘배려를 잊어서(39%)’가 80%에 육박했다. 자신의 행동이 남을 불편하게 하는지 모르고 몸에 확실하게 배어 있지 않다 보니 자신도 모르게 이기적인 행동을 하고 있는 것이다.

관련기사



현택수 한국사회문제연구원장은 “어렸을 때부터 개인과 공동체의 자유가 공존하는 방법을 배우면서 예의범절이 잘 지켜지는 문화가 정착된다”며 “가정은 물론 학교에서의 도덕과 사회화 교육이 가장 중요한데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고 말했다.

지난해부터 초등학교 1·2학년을 시작으로 적용된 ‘2015 개정교육과정’에 따르면 초등학교 1·2학년의 ‘바른생활’ 수업시간은 2년간 총 128시간으로 1주일에 한 시간 정도에 불과하다. 국어(448시간), 수학(256시간)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 김세령 한남초등학교 교감은 “학교에서 실질적인 예절이나 공중도덕 교육은 1학년 때 정도만 이뤄진다”며 “최근 맞벌이 가정이 늘어나면서 ‘밥상머리 교육’이라고 하는 가정교육과의 연계성이 떨어지는 것도 문제”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예의 관련 교육은 평생교육 관점에서 새롭게 이뤄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은다. 가정교육의 주체인 부모는 어떻게 아이를 가르쳐야 할지 제대로 배운 적이 없다. 또 연령대별로 지켜야 할 사회규범과 타인에 대한 배려도 달라진다. 게다가 온라인 공간에서의 예의나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 등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진화한다. 이번 설문에서도 타인에 대한 예절이 가장 부족한 분야로 ‘댓글 등 온라인 공간(26%)’이 가장 많았고 ‘공공장소 이용(23%)’ ‘사회적 약자(13%)’ ‘대중교통 이용 매너(11%)’ 등의 순이었다.

정창우 서울대 인성교육연구센터장은 “학생들에 대한 인성교육도 중요하지만 자녀나 학생들에게 본보기가 되는 성인들의 예절문화가 실질적으로는 더 중요하다”며 “성인들에 대한 교육이 이뤄져야 자기 성찰을 통해 잘못된 부분을 고치게 되고 그걸 보고 아이들도 따라서 배울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인성교육은 특정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태어났을 때부터 노년기에 이르기까지 생애 단계별 평생교육 차원에서 국가적인 설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두형기자 mcdjrp@sedaily.com

김민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